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서울시 근린공원 서비스의 질적 평가 및 형평성 분석 / Assesment and Equity Analysis of Neighborhood Park Service Quality in Metropolitan Seoul
저자명 김용국(Kim, Yonggook)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6 No.6(통권 제72호)(2015-12)
페이지 시작페이지(133) 총페이지(17)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도시공원 서비스 ; 사회경제적 지위 ; 분배적 형평성 ; 물리적 환경 ; 프로그램//Urban Park Service ; Socioeconomic Status ; Distributive Equity ; Physical Features ; Programming
요약1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근린공원 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고, 공원 주변지역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고려해 근린공원 서비스 질의 분배적 형평성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서울시 공원 정책 및 계획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내 151개 근린생활권 및 도보권 근린공원의 물리적 환경 질과 생활체육 및 문화예술 프로그램 운영 수준을 평가한 후 공원 주변지역의 노인, 어린이, 저소득계층, 주택개별공시지가, 인구밀도, SES 지수 등의 사회경제적 지위 변수를 고려하여 형평성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시공원 정책이 공원 공간의 양적 확충에 무게중심을 둔 사이 질적 공원서비스로부터 소외된 지역과 주민들이 발생했다. 151개 근린공원의 질을 평가한 결과 지역주민들의 신체활동 및 사회적 상호작용에 필수적인 레크리에이션 시설과 자연경관요소의 질적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은 상태이며, 근린공원별 연중 운영되는 프로그램 수는 평균 한 개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원 필요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노인, 어린이, 저소득계층 비율이 높은 지역 가운데 노후화된 시설과 열악한 관리 상태로 인해 이용자가 없이 방치된 다수의 근린공원들이 존재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공원서비스의 양적 확충 정책을 추진하는 데 재정적 제약이 큰 서울시가 공원서비스 질의 형평적 관리 정책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quality of neighborhood parks in Seoul, and to analyze the distributive equity of qualitative neighborhood park services in consideration of SES factors of a certain population and region.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programming of 151 neighborhood parks in Seoul, the distribution of qualitative park services was analyzed in consideration of SES factors of neighborhoo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ome regions and residents have been excluded from receiving qualitative park services as related policies were focused on quantitative expansion. The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151 neighborhood parks revealed poor ratings in scenery and recreational facilities, which are essential in maintaining the physical well-being of residents. The number of programs offered by neighborhood parks averaged to less than one per park. Regions with a high proportion of elderly, children and low income groups had neighborhood parks that were largely unused due to deteriorated facilities and poor management. These results implied that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equitable management of qualitative park service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사람 중심 가로 조성을 위한 도시설계 연구
임유경(Lim, Yookyoung) ; 성은영(Seong, Eunyoung) ; 임강륜(Lim, Kang Ryoon) - 연구보고서(기본) : 2015 No.06 (201510)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도시공원 정책 수립을 위한 공원 평가 모델 개발 연구
이상민 ; 심경미 - 연구보고서(기본) : 2013 n.06 (201310)
[논문]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도시재생계획 사례연구
최강림 ; 이승환 - 국토계획 : v.44 n.2(통권 169호) (200904)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도시지역권 근린공원의 이용권에 관한 연구
최성웅(Choi, Seong-Woong) ; 김흥순(Kim, Heung-Soon) - 한국지역개발학회지 : Vol.28 No.3 (201609)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