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철도 부지를 활용한 경의선숲길공원 이용행태 연구 / Behavior Patterns in an Urban Linear Park, Reusing the Abandoned Railroad - Focused on Gyeongui-Line Forest Park in Seoul
저자명 양승열(Yang, Seung-Yeol) ; 유석연(Yoo, Suk-Yeo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7 No.1(통권 제73호)(2016-02)
페이지 시작페이지(101) 총페이지(16)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철도부지 ; 선형공원 ; 이용행태 ; 시간차촬영기법//Abandoned Railroad ; Linear Park ; Behavior Pattern ; Time-Lapse ; GIS
요약1 본 연구는 생활권공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도시구조변화에 따른 폐철도부지 출현과 이를 활용한 공원조성에 주목하였다. 선형공원은 면적공원에 비해 생활권공원으로 기능하는데 유리하며, 일상적인 이용행태가 더 활발할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연구목적은 경의선숲길공원을 대상으로 이용행태 유형별 특성 및 밀도 특성, 이용자구분에 따른 이용행태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시간차촬영기법을 이용한 행태관찰과 GIS를 통한 행태지도 분석을 통해 이용자 일반특성과 이용행태 유형별 특성, 그리고 이용자 구분에 따른 이용행태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평일과 휴일의 이용행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주말에 찾아가는 목적성공원이 아닌 일상적 이용이 지속되는 생활권공원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적행태로는 휴식 외에 대화 등 사회적 교류를 함께 들 수 있으며 보행자가 많은 개방적인 장소에서 많이 나타났고 그늘, 조망 등 물리적 환경 특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걷다’행위 중심의 동적행태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아 선형의 이용패턴이 주로 나타났다. 이는 공원의 형태적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휴식, 대화, 구경, 약속장소 등 정적행태 우위의 일반근린공원과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동적행태 우위의 선형공원에서 공원시설에 대한 중요도는 상대적으로 낮으며, 선형의 형태적 특성을 반영한 동선계획과 주변 도시조직과의 연계계획 등을 더욱 중시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요약2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behavior patterns of an urban linear park, which reuse an abandoned railroad, utilizing behavioral mapping in GIS and behavioral observations through time-lap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urban linear park is used consistently without distinctions between weekdays and week-ends. Second, resting behaviors prefer open spaces and are affected by external conditions such as shade, scenery, etc. Furthermore, open spaces are jointly used as a social interaction areas for communication behaviors. Third, moving behaviors are emerged as a linear pattern use, due to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near park. In addition, walk-oriented activities represent an overwhelming ratio of moving behaviors. It shows a definite difference in the conventional neighborhood park’s behavior patterns with respect to rest, talk, seeing, appointed place and so 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circulation plan of the linear park and the link with neighboring urban areas deserve more attention, while the significance of the park facilities is relatively low, due to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of the linear park.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장소탐방] 역사와 문화를 담은 경의선숲길
최송천 ; 이남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19 (201509)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이것이 도시설계] 도시설계 사례의 해설 1 : 서울 경의선숲길
편집부(Editor) - Urban Design Focus : 2017. 09 (201709)
경의선숲길 공원조성에 따른 주변도시의 경제적, 사회적 변화
고나연 ; 김한배 - 한국조경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 (201610)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경의선 숲길이 지역재생에 미치는 영향
박병훈(Park, Byung-Hoon) ; 김한배(Kim, Han-Bai) - 한국경관학회지 : Vol.8 No.1 (201606)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이것이 도시설계] 서울 경의선숲길(Part 3 & 4)
편집부(Editor) - Urban Design Focus : 2017. 10 (201710)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