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광장에 대한 공론의 생성과 공간적 반영 / 여의도공원, 서울광장, 광화문광장을 대상으로 / Public Spheres and Its Spatial Reflection on Three Plazas in Seoul, Korea
저자명 안진희(Ahn, Jin-Hee) ; 배정한(Pae, Jeong-Han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7 No.6(통권 제78호)(2016-12)
페이지 시작페이지(63) 총페이지(16)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여의도공원 ; 여의도광장 ; 서울광장 ; 광화문광장 ; 신문 ; 월간지//Yeouido Plaza ; Gwanghwamun Plaza ; Newspaper ; Monthly Publication
요약1 이 논문은 광장을 매개로 변화가 일어난 서울의 여의도 공원, 서울광장, 광화문광장을 대상으로 도시의 상징적 공간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고, 그 형태적 반영 양상을 진단한다. 이를 위해 신문의 지면기사, 칼럼, 독자 의견, 그리고 전문 월간지에 게재된 세 공간과 관련한 정보와 비평을 공간과 논점, 논의에 따라 분류한 후 해석했다. 서울의 대표적 공간으로서의 지위를 얻어 결과물이 완성되고 이용되기까지, 이를 다룬 신문과 전문 월간지의 논의에 나타난 세 공간의 유기적 관계는 다음과 같이 공간적으로 반영되었다. 첫째로 공간의 변화 과정에서 나타난 논의는 이후 다른 공간이 만들어지는 배경으로 작용하거나 만들어진 공간의 형태와 구성 요소에 참고되었다. 다음으로 공간의 삭제와 생성, 계획의 수립과 보류, 계획의 재가동이라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세공간은 수직적이고 전통적인 요소, 그리고 불완전한 평면성이라는 공통의 형태적 특성을 반복했다. 결과적으로 서울의 세 공간은 공원과 광장이라는 성격에 관계없이 도시의 대표적 공간에 요구되는 개념을 모두 도입한 평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
요약2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symbolic spaces in Seoul (Yeoido Park, Seoul Plaza, and Gwanghwamun Plaza) and interpret the aspects that are reflected in their forms. To achieve it, the authors classified and interpreted the information and criticism related to the three spaces on the newspaper articles, columns, readers' opinions, and professional monthly magazines according to the space, issues, and discussion. From earning status as the representative spaces of Seoul to being completed and used, these articulated spaces in newspapers and monthly publications were covered following spatial reflections. First, Discussion in the course of space change is then referred to as the background in which other spaces are created, or in the form and components of the spaces created. Next, these three spaces were repeated common form characteristics, which are vertical and traditional aspects, and incomplete flatness through the process of elimination and creation of space, establishment and retention of a plan, and restarting of the plan. As a result, these three spaces in Seoul performed their role as the flat land that could adopt all of the concepts that were demanded in the representative spaces regardless of the character of the park or plaza.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행태의 장 개념을 통해 본 도심 내 광장의 이용 및 기능에 대한 연구
최우석 ; 김기호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4 n.1(통권 제55호) (201302)
한국 도시광장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성기문 ; 류주희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 v.15 n.03 (통권54호) (201306)
서울 도심부 3대 광장 주변부 공간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이정형 ; 이용훈 ; 정영도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4 n.6(통권 제60호) (201312)
광장 개방공간 디자인에서 시지각적 연속성에 관한 연구
이영주(LEE Youngju) ; 이정교(LEE Joungky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09 No.02 (201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