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도시재생 연계형 소규모 행복주택 사업모델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Business Model for the Small-Scale Haeng-bok Public Rental Housing in Connection with Urban Regeneration
저자명 김옥연(Kim, Ok-Yeon) ; 권혁삼(Kwon, Hyuck-Sam)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8 No.4(통권 제82호)(2017-08)
페이지 시작페이지(5) 총페이지(18)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행복주택 ; 소규모 주택지구 ; 주변지역 정비 ; 국비지원사업 ; 도시재생//“Haeng-bok” Public Rental Housing ; Small-Scale Housing District ; Neighboring Area Renewal ; State-Funded Project ; Urban Regeneration
요약1 행복주택은 사회초년생 등 사회활동이 활발한 젊은 층을 위한 공공임대주택으로서 직주근접이 가능하고 기존 생활인프라 시설이 있는 도심 내에 공급해야 한다. 그러나 도심 내에 임대주택 건설 가용부지가 부족하고 높은 지가 등으로 기반시설의 설치 없이 소규모로 행복주택을 공급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노후 다가구매입임대주택을 재건축하여 행복주택으로 공급하는 경우 소규모점적 형태로 분산 개발함에 따라 난개발의 우려와 관리업무의 어려움이 예상된다. 따라서 도심내에 행복주택을 공급하는 경우 행복주택 지구를 중심으로 일정 범위의 주변지역의 기반시설도 함께 정비하는 도시재생 연계형 소규모 사업방식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도심내 행복주택 공급사례 중에서 주변지역 정비와 연계한 사업을 심층 분석하여 도심내 행복주택 공급시 주변지역 정비에 대한 계획내용과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주변지역 정비를 담당하는 지자체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국비사업과의 연계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요약2 The “Haeng-bok” public rental housing project provides houses designed for young people who have just started working or are actively engaged in social activities. Therefore, “Haeng-bok” public rental housing should be located in the inner city where it is easy to commute to work and use the existing infrastructure. In the inner city, however, it is highly likely that public housing is developed on a small scale without infrastructure because of the lack of available land and high land prices. In particular, when multi-family rental housing for the elderly is redeveloped for “Haeng-bok” public rental housing, it can cause urban sprawl and congestion in the inner city because the new public housing tends to be developed sporadically on a small scale, like scattered dots. For this reason, when “Haeng-bok” public rental housing is provided in the inner city,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city and overcome opposition to it from inhabitants and local governments by renewing the infrastructure in the neighboring areas of the public housing district. To this end, the present study conducted in-depth analysis on the previous “Haeng-bok” public housing projects that were carried out concurrently with neighboring area renewal; the objective was to suggest detailed plans and specific guidelines for such renewal in case of similar future developments in the inner city. As local governments should take charge of neighboring area renewal, this study suggested a way to link it with a state-funded project in order to ease their financial burden.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1인가구를 위한 소형집합주거 공간계획에 나타난 주요특성 및 선호
김미경 ; 장은혜 ; 송애희 ; 유진 ; 최지은 -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0 v.2(추계) (201011)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행복주택 커뮤니티시설 현황조사연구
이윤재(Lee, Youn-Jae) ; 박소윤(Park, So-Yun)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ol.29 No.6 (201812)
아모레퍼시픽 사옥 설계사례
최도석 - 설비저널(대한설비공학회지) : Vol.47 No.12 (201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