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건강도시사업에 대한 거주자 인식과 물리적 환경 개선요소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건강도시사업 대상 주거단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sidents’ Awareness of Healthy City Projects and Aspects of Physical Environment Improvements - Based on Seoul’s Healthy City Project Housing Estates
저자명 김영현(Kim, Young-Hyun) ; 정소윤(Jung, So-Yun) ; 김용국(Kim, Yong-Guk)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8 No.4(통권 제82호)(2017-08)
페이지 시작페이지(57) 총페이지(18)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건강도시 ; 물리적 근린환경 ; 거주자 인식 ; IPA 분석//Healthy City ; Physical Neighborhood Environment ; Residents’ Perception ; IPA Analysis
요약1 본 연구는 중앙부처 및 지자체 차원에서 건강도시사업을 추진한 지역을 대상으로 건강도시사업의 인지도 및 만족도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거주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근린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계획요소의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를 통해 도출한 근린환경 계획요소를 바탕으로 건강도시사업을 추진한 주거단지 및 마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IPA 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도구는 SPSS 18.0과 EXCEL2010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지의 거주민들은 신체적 건강에 대한 높은 관심을 나타냈으며 근린환경과 건강은 밀접한 관계를 지닌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현행 금연, 절주, 건강검진 등 프로그램 위주의 건강도시사업에 대해 인지도, 참여도, 만족도 모두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건강한 근린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물리적 환경 개선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조사대상지별 IPA분석 결과 거주민들은 보행자 안전성, 범죄 안전성, 유니버설 디자인 등 생활안전적인 측면에서의 건강 계획요소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2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awareness and satisfaction levels of healthy city projects implemented b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Korea, and deducts neighborhood planning elements that will improve health levels of residents. The study drew neighborhood planning elements through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Based on such elements, this study also conducted a survey of residents. Analysis methods included frequency analysis and IPA analysis using SPSS 18.0 and EXCEL 2010 as specific tools of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idents displayed high interest in physical health issues and believed it to be closely related to neighborhood environments. Second, residents showed lower levels of awareness,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regarding various health programs, such as anti-smoking, anti-drinking campaigns and medical checkups, reinforcing the importance of physical environment improvements. Third, IPA analysis revealed that residents placed the highest importance on safety related aspects, such as safe pedestrian environment, low crime rates, and universal design in response to healthy city planning element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도시재생과 연계한 건강도시 조성의 가능성
김은정 - 도시행정학보(한국도시행정학회 논문집) : Vol.29 No.3 (201609)
[논문] 건강도시 조성을 위한 가이드라인의 수립방향에 관한 연구
김태환 ; 김은정 ; 전혜선 - 국토계획 : v.49 n.6(통권 208호) (201410)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논문] 건강도시 계획 요소의 국제간 비교 연구
이경환 ; 김승남 ; 안건혁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8 n.4(통권 제29호) (200712)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정신적 장애가 있는 노인을 위한 주거공간계획
정윤혜(Jung, Yoon-Hye) ; 이윤재(Lee, Youn-Jae) - KIEAE Journal : Vol.17 No.6(통권 88호) (201712)
근린의 물리적 환경이 노인의 건강 및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김용진 ; 안건혁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도시형생활주택의 범죄예방환경설계 계획을 위한 국외사례 조사 및 분석
정윤혜(Jung, Yoon-Hye) ; 이유미(Lee, You-Mi) - KIEAE Journal : Vol.18 No.1(통권 89호) (201802)
장수명주택 인필 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기초 연구
정윤혜(Jung, Yoon-Hye) ; 황은경(Hwang, EunKyoung) ; 김은영(Kim, Eun-Young) - KIEAE Journal : Vol.17 No.5(통권 87호) (201710)
[논문] 뉴욕시의 건강도시 계획과정 및 추진체제
이명훈 ; 송혜승 ; 장민영 ; 조미정 ; 최민성 - 국토계획 : v.49 n.4(통권 206호) (201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