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도시농업공원 조성을 위한 전략 및 기본계획 연구 / 대구광역시 고산골마을을 대상으로 - / Strategy and Basic Planning for Creating an Urban Agricultural Park -Focusing on Gosangol Village in Daegu City-
저자명 이종일(Lee, Jong-Il) ; 권진욱(Kwon, Jin-Wook)
발행사 한국조경학회
수록사항 조경연구(한국조경학회지) , Vol.45 No.4(2017-08)
페이지 시작페이지(23) 총페이지(12)
ISSN 1225-1755
주제분류 조경
주제어 농업경관 ; 공원형 ; 지속가능한 농업 ; 도시농업//Agricultural Landscape ; Park-Type ; Sustainable Agriculture ; Urban Agriculture.
요약1 본 연구는 도시농업의 지속가능한 실현과 도시농업과 도시공원이 융합된 도시농업공원 조성을 목적으로 대구광역시 고산골 마을을 대상으로 계획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두 가지 관점에서 의미를 가지는데, 주제공원으로서 도시농업공원 조성 시 고려하여야 할 개발전략을 제안하는 것과 실제 적용을 위한 공간프로그램 및 도입시설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제시가 이에 해당하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농업공원의 조성은 도시공원의 수요적 진화로부터 유도된 지역 커뮤니티 공간으로서 역할을 담당하며, 이의 실현을 위한 농업 행위가 주제로 결합하여야 한다. 따라서 조성전략으로 ‘지속가능성에 중점을 둔 도시농업의 장마련’, ‘농업 경관 중심의 녹지체계 구축’, 그리고 ‘지역소통을 위한 여가 공간 조성’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 도시농업공원이 갖추어야 할 주요 기능은 ‘생산적 측면’의 농산물 생산과 거래, 농지임대, ‘환경적 측면’의토양보존, 자원순환, 녹지제공 등, ‘사회문화적 측면’의 여가 및 체험, 공동체 활성화, 교육, 사회복지 등이 해당되며, 아울러 도시공원이 요구하는 위락적 기능, 생태적 기능, 보호적 기능 등이 병행되어야 한다. 셋째, 도시농업공원 조성 시 요구되는 주요 시설로는 공원관리시설을 제외한 도시농업시설, 조경시설, 휴양시설, 운동시설, 교양시설, 편익시설 등을 포함하여야 하며, 도시농업시설의 중심시설인 텃밭의 경우, 다양한 이용목적과 행태를 고려한 다양한 유형과 규모의 도입이 요구되므로, 본 계획에 반영하였다. 본 연구는 계획대상지가 특정 지역에 국한된 한계를 지니나, 공원형 도시농업 공간 조성을 위한 계획모형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를 가진다.
요약2 This study focused on a planned site located in Gosangol Village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at aims to build an urban agricultural park combining urban agriculture and urban park for the sustainable realization of urban agriculture. Accordingly,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wo perspectives: firstly, suggesting development strategies to be considered when building an urban agricultural park as a theme park, and secondly, presenting guidelines for spatial programs and facilities to be introduced for actual applica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building an urban agricultural park fills a role as a local community space prompted by the demand-oriented evolution of urban parks, and agricultural behaviors to be incorporated in the theme. In this context, ‘building an urban agricultural space focusing on sustainability’, ‘constructing green space systems focusing on agricultural landscape’, and ‘structuring leisure spaces for communications in the community’ are presented as development strategies. Secondly, key functions that an urban agricultural park should have include production and trade of agricultural products on the production side, soil preservation, resource cycling and green space provision on the environmental side, leisure and experience, community vitalization, education, and social security on the social and cultural side, and entertainment functions, ecological functions, and protective functions as urban park functionality. Thirdly, key facilities needed when building an urban agricultural park include urban agricultural facilities other than park management facilities, landscape facilities, recreational facilities, sports facilities, educational facilities, and convenient facilities, and family gardens as the key facility of the urban agricultural park should be scal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purposes and behaviors of their use.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at the subject site was limited to a specific area but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ed a planning model for the spatial structuring of park-type urban agriculture.
소장처 한국조경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도시농업의 이론, 패러다임 및 유형 분석을 통한 지속가능한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한주형 ; 장동민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5 n.6(통권 제66호) (201412)
공동주택단지 내 도시농업 도입 및 계획방안 연구
오주석 ; 김세용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5 n.5(통권 제65호) (201410)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도시농업 유형 선호도 분석
이동관(Lee, Dong-Gwan) ; 조세환(Cho, Se-Hwan) - 조경연구(한국조경학회지) : Vol.44 No.6 (201612)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