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바닥 진동 거동 및 충격원 특성을 고려한 바닥 중량 충격음 평가방법 고찰 / Consideration on Rating Method for Heavy Impact Sound Taking Account of the Characteristics of Floor Vibration and Impact Sources
저자명 이민정(Min-Jung Lee) ; 최현기(Hyun-Ki Choi)
발행사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수록사항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Vol.21 No.4(2017-07)
페이지 시작페이지(69) 총페이지(11)
ISSN 2234-6937
주제분류
주제어 맨바닥 슬래브 ; 바닥충격음레벨 ; 바닥진동 ; 충격원 ; 층간소음 ; 단일수치평가량//Concrete slab ; Floor impact sound pressure level ; Floor vibration ; Impact source ; Noise between floors ; Single number quantity
요약1 표준 중량 충격원의 실제 충격원 재현성에 대한 논란이 있음에도 현재 기준에서는 뱅머신 방식만 사용하고 있다. 현행 기준의 평가방법 및 등급 기준이 충격원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어 충격원의 선택에 따라 바닥충격음 차단 성능 등급에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충격원 특성 외에 바닥 진동 거동 특성을 함께 고려한 현행 기준의 바닥충격음 평가 방법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공동주택 mock-up 실험동에서 표준 중량 충격원과 실충격원에 대하여 바닥충격음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해외 평가 방법과 우리나라의 평가 방법을 비교 검토하였다. 또한 현행 바닥충격음 평가 기준의 대상 주파수 범위를 벗어나는 저주파수 대역의 음압레벨은 네텔란드의 저주파 소음 인지 곡선과 국내 연구자가 제안한 저주파 소음 기준안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기준 및 평가 산정 방법에 따라 성능 평가 결과가 상이하며, 바닥 진동의 지배 주파수 범위에서 모든 충격원에 대한 바닥충격음 가청 소음으로 인식하여 성가시게 느낄 가능성이 매우 크다. 현행 평가 기준의 단일수치 평가량 산정 방법은 충격원에 따라 상이한 음압레벨 스펙트럼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며, 바닥의 진동 거동 지배 주파수를 포함하는 저주파수 대역의 음압레벨을 고려하지 않고 있어 바닥충격음에 대한 평가 결과와 사람의 인지 수준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충격원에 따른 음압레벨의 스펙트럼 특성과 저주파수 대역의 음압레벨을 반영할 수 있도록 현행 기준의 평가 방법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the rating method for the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in current criterion. Although there are some arguments about proper standard heavy impact source with reproducibility of actual impact source in residence building, bang machine is adopted as the only standard heavy impact source in domestic criterion. To inspect the rating methods of evaluation criteria, this study conducted vibration test for both of standard heavy impact sources and actual impact sources. Using the test results, the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levels were assessed by each of several criteria. In addition, low frequency noise beyond current criteria was evaluated. Consequently, the floor impact sound levels have different performance levels according to adopted criteria, and measured floor impact sounds are bound to annoy the neighbors in the low frequency range. Current criteria does not consider the spectrum characteristics of floor impact sound according to impact sources and low frequency noise. This may cau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level and human perception. Thus current criterion needs to be complemented to reflect the spectrum characteristics of floor impact sound levels according to impact sources and sound pressure levels in low frequency range.
소장처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층간소음문제 완화방안 제안을 위한 건축물 부재별 바닥충격음 전달경로 파악 - 바닥충격음 중 중량충격음에 관하여 -
성민제(Sung, Minjea) ; 이현수(Lee, Hyun-Soo) ; 박문서(Park, Moonseo) ; 조종우(Cho, Jongwoo)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38 No.1 (201804)
기존 건축물 층간소음 저감공법 적용 효과 분석
송태협(Song Tae Hyeob) ; 전찬구(Jeon Chan Soo) ; 김지훈(Kim Ji Hoon) -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기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v.18 n.1(통권 제34호) (201805)
[특집] 신축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기술 개발방향
천영수(Chun, Young-Soo) ; 이범식(Lee, Bum-Sik) ; 김혜란(Kim, Hye-Ran)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2 No.05 (201805)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식바닥시스템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박미진(Park, Mi Jin) - 한국주거환경학회 논문집 <주거환경> : Vol.14 No.4(통권 제34호) (201612)
벽식 구조 공동주택의 뜬 바닥 구조 중량충격음에 대한 평면 구성 및 완충재의 영향
김주형(Ju Hyung Kim) ; 문대호(Dae Ho Mun) ; 정갑철(Gab Cheol Jeong) ; 박홍근(Hong Gun Park)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논문집 : Vol.27 No.04 (201708)
층간소음 감소를 위한 최적 마감재 선정에 대한 연구
신원식 ; 유주환 ; 한창규 ; 민경석 - 전국 대학생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411)
공동주택 층간차음 개선을 위한 실물평가 연구
문종욱 ; 박선욱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 v.16 n.02 (통권60호) (201404)
층간소음 저감 공법의 경제성 비교
허세영 ; 양기남 ; 홍윤수 ; 김도수 - 전국 대학생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311)
신축공동주택의 상하층간 소음 및 진동전달 특성과 층간소음 차단성능에 관한 연구
함진식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24 n.2 (201304)
바닥충격음 인정구조의 중량충격음과 동탄성계수와의 상관성 분석 및 임피던스 예측법에 관한 연구
오진균(Oh Jin-Kyun) ; 손장열(Sohn Jang-Yeol)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6 (20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