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쇠퇴지역 빈집 특성 및 빈집 재생 시사점 / 주민과 지역 전문가 인식을 중심으로 /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Empty Homes in Deprived Areas and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Empty Homes: Focusing the Perception of Residents and Local Coordinators
저자명 박성남(Park, Sungnam)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9 No.1(통권 제85호)(2018-02)
페이지 시작페이지(5) 총페이지(16)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빈집 ; 지역 특성 ; 재생 ; 현장 중심//Empty Homes ; Local Characteristics ; Urban Regeneration ; Practice-focused
요약1 본 연구는 주민과 전문가의 인식을 바탕으로 쇠퇴지역 및 지역사회 특성에 따른 공폐가 문제 특성을 살펴보고 쇠퇴지역 및 지역사회 특성에 따른 공폐가 재생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를 위해 영주, 천안시 도시재생 선도지역과 순천 새뜰마을 사업 지역을 대상으로 심층현장 조사, 전문가 인터뷰, 주민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사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층 사례 연구 대상 지역 모두 외곽 신도시 건설, 재해 발생 등으로 인한 인구유출 지속 등 쇠퇴 지역의 특성을 공통적으로 지니고 있었다. 둘째, 주민 인터뷰 결과 주민 고령화와 빈집 발생 연계성, 경사도, 접근로 협소 등 물리적 특성과 빈집 발생과의 연계성이 확인되었으며, 주민 대다수가 장기 방치 빈집으로 인해 주거환경이 악화되고 있어 지역 특성을 반영한 대응이 필요한 점이 강조되었다. 셋째, 전문가 인터뷰 결과 빈집 활용 사업 추진에 있어 다수의 애로사항과 빈집 활용 사업들의 효과적 추진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 지원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지역 맞춤형 빈집 재생 전략과 현장 중심의 빈집 재생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empty homes, and to suggest the implications for the regeneration of empty homes in deprived areas, based on the perception of residents and local experts. For this study, in-depth field survey, interviews with local residents and experts were conducted for three regeneration project areas of Yeongju, Cheonan city, and Suncheon. The results of the three cas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all in-depth case study areas have similar reasons of declining areas such as construction of new suburbs and a continuous decrease in population due to disasters. Second, as a result of residents' interviews, it i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empty homes is related to the lo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aging of residents and the incidence of vacant houses, the degree of inclination, the inferior access roads and the connection with vacancy occurrence. Also, the majority of the residents emphasize the need for a remedy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s the housing environment is deteriorating due to long-term neglected vacancy. Third, as a result of expert interview, policy implications are made for promoting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many difficulties and vacancy solution.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site-centered empty homes regeneration strategies,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구시가지 빈집 발생의 원인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전영미(Jeon, Youngmee) ; 김세훈(Kim, Saehoon)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7 No.1(통권 제73호) (2016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일본의 빈집문제 대응체계에 관한 고찰
이동훈(Lee, Dong-Hoon)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8 No.1(통권 제79호) (201702)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쇠퇴지역 공·폐가 재생 및 활용 정책방안 연구
박성남(Park, Sungnam) ; 김승남(Kim, Seung-Nam) ; 윤주선(Yoon, Zoosun) - 연구보고서(기본) : 2016 No.05 (201610)
빈집을 활용한 지역 커뮤니티 거점 만들기
남지현(Nam, Jee-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30 n.11 (201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