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경관계획수립지침에 따른 지자체 경관계획의 경관자원 조사 현황 분석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alysis of Local Government Landscape Planning by the Landscape Guideline
저자명 장혜원(Jang, Hye-Won) ; 김다영(Kim, Da-Young) ; 주신하(Joo, Shin-Ha)
발행사 한국경관학회
수록사항 한국경관학회지 , Vol.9 No.1(2017-06)
페이지 시작페이지(1) 총페이지(13)
ISSN 2092-9919
주제분류 도시 / 계획및설계
주제어 경관법 ; 경관가치 ; 경관조사 ; 경관현황 ; 경관자원 ; 지방자치단체 경관계획//Landscape Law ; Landscape Value ; Landscape Research ; Landscape Sources ; Landscape Resources ; City Level Landscape Plan
요약1 2007년 경관법과 수립지침 제정 이후 각 지자체에서 경관계획을 수립하고 있지만, 수립지침의 형식화로 경관계획의 방향성이 획일화 되고 있다. 또한 2012년 경관법 개정이후 5년이 지난 현시점 경관계획을 재정비해야 하는 시기가 도래하였다. 때문에 이전 계획과의 연속성과 구체성 확보를 위하여 경관계획의 근원이 되는 경관자원현황조사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20개의 시·군 경관계획을 선정하여 경관자원현황조사 및 분석 단원을 수립 지침과 비교한 후, 추가적으로 경관자원 수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관자원과 경관현황이 가진 의미차이가 불분명하기 때문에 관리나 보전이 필요한 주요 경관자원을 소외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둘째, 세부적인 지침의 제안은 계획의 구체화에 영향을 줌으로 경관현황조사 및 분석 부분에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부분과 선택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명시가 지침에 필요하다. 셋째, 경관현황 조사 및 분석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계획 후반부인 경관기본구상, 경관기본계획의 부분에 충실하게 반영되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경관계획의 경관조사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과 각 지자체 계획의 특징을 도출할 뿐 아니라, 경관 계획 수립 지침과의 비교로 경관현황 조사 부분의 지침 보완에 대한 방향 제시에 기여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요약2 Since the establishment of a landscape law and guidelines for landscape plan in 2007, foundation of landscape plan of city that has qualified in some conditions is mandatory. But in this phase, guidelines for landscape plan are adapted regardless of exception, and this cause every landscape plan bland. In addition, period of five years for establishing secondary landscape plan comes back since the revision of the Act on the Law of Landscape in 2012.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landscape resources searching and analysing part in plan, which is the source of the landscape plan to ensure continuity and refinement with the previous plan. The study selected 20 landscape plans in terms of city level, and comparing with the guide lines which is in Act on the Law of Landscape. Then additionally include the figure of landscape resources for ensure actuality. Conclusion follows; First, uncertainty of word meaning landscape 'sources' and landscape 'resources' can be a matter when it comes to managing and preserving of landscape. Defining two concepts of meaning definitely can be a key for specific landscape plan. Second, the proposal of detailed guidelines is directly concerned with the degree of detail on the landscape plan. So, it is necessary to divide some sort of mandatory and optional guidelines. Third, landscape basic concept and landscape basic planning part, follows after landscape resource searching and analysing part, should partly considered in this level. It means for unity of throughout landscape plan, more specific way to connect each part is required. In this study, the aim of the investigation is to contribute to the review and characterize of the landscape plan, as well as by comparing with the guideline, to contribute to propose complementary guidelines.
소장처 한국경관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국내 경관계획 관련지침 및 계획내용 분석
주신하 ; 김영희 - 조경연구(한국조경학회지) : v.39 n.4 (201108)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경관심의에 사용되는 경관시뮬레이션 실태분석 연구
이임정 ; 최주영 - KIEAE Journal : v.14 n.4(통권 68호) (201408)
수변공간 활성화를 위한 도시계획 및 설계방향
권영상 ; 조민선 - 연구보고서(기본) : 2010 n.5 (201012)
건축물 경관심의제도에 대한 전문가 인식 연구
이민수(Lee, Min-Soo) ; 이창엽(Lee, Chang-Yeob) ; 김경배(Kim, Kyung-Bae)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8 No.6(통권 제84호) (2017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도시재생사업에서 입체도시계획기법
이종원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0 n.1(통권 제34호) (200903)
경관법 개정에 따른 중점경관관리구역의 지정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윤무근(Youn, Moo-Keun) ; 송대호(Song, Dae-Ho)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 Vol.20 n.01 (통권83호) (201802)
지속가능한 개발 사례에서 나타난 경관계획의 특성에 관한 연구
경학봉(Kyoung, Hak-Bong) ; 이광영(Lee, Gwang-young)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37 No.2 (201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