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논문] 계와 동으로 본 서린방의 공간과 사회 / [Theses] An Analysis of Seorin-bang's Space and Society with Regard to Gye and Dong
저자명 이길훈(Lee, Kilhun) ; 우동선(Woo, Don-Son)
발행사 한국건축역사학회
수록사항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ol.27 No.2(통권 117호)(2018-04)
페이지 시작페이지(17) 총페이지(12)
ISSN 1598-1142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한성부 ; 한성부호적 ; 광무년간 ; 경성부관내지적목록 ; 서린방 ; 시전 ; 방 ; 계 ; 동 ; 통 ; 호 ; 공간 ; 사회//Hanseongbu ; Hanseongbu Family Register ; Gwangmu period ; Gyeongseongbu Gwannae Jijeok Moknok ; Seorin-bang ; Sijeon ; Bang ; Gye ; Dong ; Tong ; Ho ; Space ; Society
요약2 This study explores the space and society of Seorin-bang(瑞麟坊), using the Hanseong-bu family registry from the Gwangmu period to demonstrate the urban organizational units us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known as Seo(署)-Bang(坊)-Gye(契)-Dong(洞)-Tong(統)-Ho(戶). It seeks to examine how Seorin-bang's space and society changed with time. First, the study offers approximate demarcation for Gye and Dong through spatial verification of Bang-Gye-Dong-Tong-Ho of Seorin-bang in late Joseon Dynasty, whose precise locations were formerly undetermined. Second, it explores the relationships between Bang-Gye-Dong-Tong-Ho which has been widely understood to be hierarchical by previous studies, and classifies the relationship dynamics between Gye and Dong into four types. Third, the study finds that Seorin-bang retained much of its urban structure including roads, plots, and streams and maintained stable population distribution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continuously served as place of residency for many throughout the Gwangmu period. This study has major implications in that it illustrates space and society of Seorin-bang by converting the family registry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into spatial data, and observes its changes subsequent to the Japanese colonial rule.
소장처 한국건축역사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서울 입정동 일대 도시조직의 적응 유형
우동선(Woo, Don-Son) ; 조윤오(Cho, Yun-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4 No.07 (201807)
1930년대 말 서울의 양관에 대한 연구
허유진(Huh, Yoo-Jin) ; 우동선(WooDon-S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9 n.7 (201307)
박길룡의 초기 주택개량안의 유형과 특징
김명선(Kim Myung-S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7 n.4 (201104)
1905~1945년에 지어진 일본 관사의 온돌 수용
백윤진 ; 전봉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21 n.6 (201012)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의 온돌에 대한 인식변화와 온돌개량
강상훈(Kang Sang-Ho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11 (200611)
대한제국기 한성부 종로일대지역의 住商복합구조
정정남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211)
[논문] 한성부 중서 견평방에서 가택 칸수의 변화를 통해서 살펴본 「호구조사세칙」(1896)의 적용 양상-1903년과 1906년의 견평방 1통에서 23통까지를 대상으로-
조윤오(Cho, Yun-O) ; 우동선(Woo, Don-Son)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ol.28 No.6(통권 127호) (201912)
[논문] 건축가 김정희와 평양시 복구 총 계획도: 신화와 역사
박동민(Park, Dongmin)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ol.27 No.2(통권 117호) (201804)
지적원도를 통하여 본 서울의 옛 도시조직
이상구 -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405)
의친왕부 사동본궁을 통해 본 대한제국기 궁가의 특징
정정남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