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인구 100만 이상 대도시권의 도시회복력 수준에 관한 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evel of Urban Resilience in the Comprehensive Plan - Focused on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저자명 전유미(Jeon, Youmi) ; 이제선(Lee, Jea-Su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9 No.3(통권 제87호)(2018-06)
페이지 시작페이지(21) 총페이지(12)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도시회복력 ; 지표분석 ; 도시기본계획 ; 체크리스트//Urban Resilience ; City Comprehensive Plan ; Checklist Analysis
요약1 도시화, 세계화,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도시의 위험은 점차 다양화, 대형화 되고 도시를 구성하는 인문·사회·경제·문화 등 다양한 요소들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위험의 예측불가능성, 불확실성이 극대화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예방적 차원에서 단일 위험요소를 제거하거나 방지한다고 극복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위험노출의 완화, 취약성 개선, 위기나 충격이후 적응성 등을 고려된 도시계획차원의 종합적인 회복력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인구 100만 명 이상의 대도시에 기 수립된 도시기본계획에 도시회복력에 대한 개념을 적용하여 도시 회복력 진단 및 수준을 분석하고 향후 도시계획 수립 시 반영되어야 할, 도시회복력 관련 요소를 제시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대도시의 도시기본계획은 지역별 여건이나 특징으로 인해 구체적 내용의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체적으로 도시 회복력관련 내용이 계획에 점차 반영되고 구체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부문별 계획은 현황분석을 통한 계획목표 및 기본방향 수립, 관련 지표 설정 등 과거경험을 바탕으로 한 계획(반영성, 자원동원력)은 구체적으로 수립된 반면, 다양한 이해관계자(특히, 취약계층)를 고려한 계획 및 계획간 연계성이 다소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회복력 있는 도시계획 수립을 위해서 도시기본계획 수립지침을 개정하는 등 제도적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요약2 The risk and vulnerability of urban areas are significantly increasing due to urbanization, globalization, and climate change. Moreover, the uncertainty and unpredictability of the risk are maximized as the city has grown more integrated. Given that, a comprehensive urban planning strategy is required to accommodate greater capacities of city resilience that consider all of the following: the mitigation of the risk, the improvement of the vulnerabilities, and the adaptability from the future imp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Korean metropolitan cities' urban resilience levels and identify contributing factors to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strengthening the resilience capacity of the c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gardless of the cities' regional conditions or contexts, their comprehensive urban plans are getting emphasize the importance of urban resilience and reflect more specific details. Second, the plans are well developed in reflective and resourceful based on collecting and analyzing past data, but they are limited to include all interest groups and to integrate their sub-plans for resilience enhancement. Therefore current planning guidance system needs to be improved or upgraded to strengthen the resilience capacity of the city.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도시회복력 평가체계 사례분석 및 시사점
남현정(Nam, Haun-Jung) ; 오세은(Oh, Se-Eun) ; 신상영(Shin, Sang-Young)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37 No.2 (201710)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지역특성을 고려한 스마트 축소 도시재생 전략 연구
성은영(Seong, Eunyoung) ; 임유경(Lim, Yookyoung) ; 심경미Lim, Yookyoung ; 윤주선(Yoon, Zoosun) - 연구보고서(기본) : 2015 No.10 (201512)
지속가능하고 회복력 있는 도시개발 및 관리 평가지표
한상미(Han, Sang Mi) ; 이명훈(Lee, Myeong Hun) - 한국지역개발학회지 : Vol.29 No.3 (201709)
리질리언트 시티 모델 도입을 위한 평가기준 개발 및 적용가능성 분석
이성희(Lee, Sung-Hee) ; 김정곤(Kim, Jong-Kon)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9 No.1(통권 제85호) (201802)
쇠퇴지역 빈집 특성 및 빈집 재생 시사점
박성남(Park, Sungnam)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9 No.1(통권 제85호) (201802)
[특집] 선도지역 도시재생사업의 실태와 과제
홍경구 ; 김남룡 ; 김정연 ; 김항집 ; 이석환 ; 조준배 ; 정철모 - 도시정보(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보지) : 통권 제395호 (201502)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사람 중심 가로 조성을 위한 도시설계 연구
임유경(Lim, Yookyoung) ; 성은영(Seong, Eunyoung) ; 임강륜(Lim, Kang Ryoon) - 연구보고서(기본) : 2015 No.06 (201510)
젠트리피케이션 대응을 위한 지구단위계획 건축물용도 제한의 법적 검토와 한계
김지엽(Kim, Jee-Yeop) ; 조아라(Cho, A-Ra)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9 No.3(통권 제87호) (201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