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도로변 완충녹지의 식재구조에 따른 초미세먼지(PM2.5)농도 저감효과 연구 / 서울 송파구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 A Study on Decreasing Effects of Ultra-fine Particles (PM2.5) by Structures in a Roadside Buffer Green - A Buffer Green in Songpa-gu, Seoul -
저자명 황광일(Hwang, Kwang-Il) ; 한봉호(Han, Bong-Ho) ; 곽정인(Kwark, Jeong-In) ; 박석철(Park, Seok-Cheol)
발행사 한국조경학회
수록사항 조경연구(한국조경학회지) , Vol.46 No.4(2018-08)
페이지 시작페이지(61) 총페이지(15)
ISSN 1225-1755
주제분류 조경
주제어 상대비율 ; 녹피율 ; 녹지용적계수 ; 교목구조 ; 관목구조//Fluctuated Concentration Rate ; Green Coverage Rate ; Green Volume Coefficient ; Tree Structure ; Shrub Structure
요약1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계획시설로 조성되는 완충녹지가 PM2.5(초미세먼지) 저감에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고, 도로변 완충녹지의 구조, 녹량(녹지용적), 식재유형에 따른 초미세먼지 변화량을 분석하여 초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완충녹지조성 시 활용할 수 있는 요소들을 도출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지는 송파구를 선정하였고, 양재대로, 송파대로에 인접한 5개의 완충녹지에서 16개 조사구를 선정해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PM2.5 농도 측정결과, 조사구별 평균농도는 계절 상관없이 보도 46.6μg/m3, 녹지 45.5μg/m3, 주거지 42.9μg/m3로 모두 도로(53.2μg/m3)보다 낮았으며, 주거지 농도 값이 가장 낮았다. 완충녹지의 농도 저감효과 확인을 위해 완충녹지의 녹량과 초미세먼지 상대비율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교목과 관목 전체 녹량이 높은 그룹의 상대비율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어 완충녹지 녹량의 영향력을 증명했으며, 관목 부족형이 교목 부족형보다 농도상대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관목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교목과 관목의 식재구조에 따른 녹피율과 녹지용적계수가 복합적으로 PM2.5 농도 저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교목의 열수와 관목의 층위구조가 PM2.5 농도 저감에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겨울철 완충녹지의 PM2.5 농도저감 특성 분석결과, 관목의 녹피율이 중요한 요인이었다.
요약2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 of green buffers, built as urban planning facilities on the reduction of ultra-fine particulate(PM2.5) and analyze changes in ultra-fine particles by structure, green volume and planting types of wayside green buffers, thus drawing the factors that can be used when green buffers are built to reduce ultra-fine particulat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elected Songpa-gu, and investigated 16 sites on 5 green buffers adjacent to two of Songpa-gu's main roads, 'Yangjaedaero' and 'Songpadaero'. This study divided all the green spaces into three different types-slope type, plain type and mounding type, and analyzed the mean green volume.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M2.5, this study found that it was 55.5μg/m3 on average in winter, which was a harmful level according to the integrated environmental index provided by Seoul City, saying that levels above 50μg/m3 may have a harmful effect on sensitive groups of people. Particularly, the concentration of PM2.5 was 38.6μg/m3 on average in spring, which exceeded the mean concentration of PM2.5 in Seoul City in 2015. The mean concentrations of PM2.5 in every investigation spot were 46.6μg/m3 for sidewalks, 45.5μg/m3 for green spaces and 42.9μg/m3 for residential areas, all of which were lower than 53.2μg/m3 for roads, regardless of the season. The concentration of PM2.5 for residential areas was the lowest. In the stage of confirming the effect of green buffers,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reen volume of vegetation and the fluctuated rate of ultra-fine particl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green coverage rate of trees and shrubs was related to the crown volume in every investigation spot but were mutually and complexly affected by each other. Therefore, this study judged that the greater the number of layers of shrubs that are made, the more effective it is in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PM2.5. As for season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PM2.5 for residential areas in winter and the green coverage rate of each green space type.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showing that the higher the shrub green coverage rate is, the lower the concentration value becomes in all the slope-type, plain-type and mounding-type green space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tree rows and the number of shrub layers have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fluctuated concentration rate of PM2.5. Especially, it was judged that the shrub green volume has greater effect than any other factor, and each green space type show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hrub coverage rate in winter.
소장처 한국조경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식재기법 및 도시 녹지계획 방향
허희염(Xu, Xi-ran) ; 김진오(Kim, Jin-Oh) - 조경연구(한국조경학회지) : Vol.45 No.6 (201712)
실내녹화 방법이 온?습도 및 미세먼지 농도에 미치는 영향
권계정(Kwon, Kei-Jung) ; 박봉주(Park, Bong-Ju) - 조경연구(한국조경학회지) : Vol.45 No.4 (201708)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ENVI-met 모델을 활용한 옥외공간의 열쾌적성 평가 및 검증
정다인(Jeong, Da-in) ; 박경훈(Park, Kyung-Hun) ; 김경아(Kim, Gyeong-ah) -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통권28호(Vol.15 No.1) (201505)
Envi-Met 모델을 이용한 공동주택단지의 미기후 환경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김중권 ; 정응호 ; 김대욱 ; 류지원 ; 차재규 -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8 v.1(춘계) (200804)
[특집] 친환경 건축물의 개념 및 계획 방법
윤종호 - 건축환경설비(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지) : v.1 n.2 (200710)
사회연결망분석을 활용한 건축계획 분야 공저자 네트워크 분석
윤병의(Yun, Byung-Ue) ; 김태석(Kim, Tae-Sok) ; 박종모(Park, Jong-Mo) ; 박유진(Park, Eu-Gene) ; 김진호(Kim, Jin-Ho) ; 한동석(Han, Dong-Su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3 No.02 (201702)
주택지 디자인가이드라인(Design Guidelines)의 경관계획 구성요소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이정형(Lee Jung-Hyung) ; 김민경(Kim Min-Ky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7 (200907)
[특집] 옥외환경의 열쾌적성 평가지표에 관한 고찰
송두삼 ; 임종연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10 n.4 (200912)
국내 아파트 관련 연구의 연구주제 시계열 분석
김태석(Kim, Tae-Sok) ; 박종모(Park, Jong-Mo) ; 박유진(Park, Eu-Gene) ; 한동석(Han, Dong-Su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4 No.03 (201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