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서울시 다문화 수용 인식의 공간적 분포와 영향 요인 분석 / Analysis of Spatial Distribution and Influential Factors of Perceive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 Seoul, Korea
저자명 사경은(Sa, Kyungeun) ; 기동환(Ki, Donghwan) ; 이수기(Lee, Sugie)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0 No.3(통권 제93호)(2019-06)
페이지 시작페이지(95) 총페이지(20)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다문화 수용성 ; 외국인 ; 사회통합 ; 사회자본 ; 근린환경//Multi-Cultural Acceptability ; Foreigner ; Social Integration ; Social Capital ; Neighborhood Environment
요약1 본 연구는 '2013 서울서베이' 자료를 활용하여 서울시 내 행정동별 다문화 인식의 공간적 분포와 이에 대한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 내국인의 다문화 수용 인식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근린 수준 설명력이 가구 수준 설명력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이는 다문화 수용 인식에 있어 개인 및 가구 특성뿐만 아니라, 거주지역의 근린환경 측면이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다문화 수용 인식에 있어 경합하는 두 이론인 접촉이론과 집단 갈등이론 중 단편적으로는 집단 갈등이론이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접촉이론이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두 이론을 규명하는데 있어 두 집단 간의 단편적인 접촉뿐만 아니라 접촉의 기간 또한 고려해야함을 시사한다. 셋째, 양질의 인지적 근린환경은 내국인의 다문화 수용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국인의 다문화 수용을 제고하기 위해 근린의 지속적인 관리와 치안 확보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혼합과 관련있는 주택유형 혼합도와 건조환경의 개방성이나 폐쇄성을 의미하는 근린환경 특성변수가 다문화 수용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근린단위에서 다양한 주거유형을 혼합하고 폐쇄적인 단지계획을 지양하는 것이 다문화 수용 인식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요약2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using the data obtained from the 2013 Seoul survey.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a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has shown that the explanatory power of neighborhood-level was higher than the household level.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and household as well as the neighborhood environments should be considered for analyzing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ssues. Second, among the two competing theorie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such as 'group conflict theory' and 'intergroup contact theory', this study supports the group conflict theory from a short-term perspective. However,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ntergroup contact theory gives a better explanation. This finding indicates that both temporary contact and long-term contact between the two group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examining the two theories. Third, the high quality of the perceived environment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perceive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local peop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tinuous management and the public order in a neighborhood are important in the perceive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Finally, this study shows that the mix of housing type and the structure of built environment at the neighborhood level affected the perceive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is finding means that housing mix and opened form of neighborhood built environment can make positive contributions to the perceive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다문화 문화시설의 다중심적 구성 방안 연구
김안수 ; 이영수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34 n.2 (201410)
협력적 다문화 공동체를 위한 도시 게토의 재활성화 방안
김서정(Kim, Seo-Jung) ; 구영민(Koo, Young-Min)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36 No.2 (201610)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경남지역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양금석(Yang, Kum-Suek) - 한국농촌건축학회 논문집 : Vol.19 No.1 (2017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어린이환자의 공간사용 행태에 관한 연구
최인영 ; 박수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23 n.6(통권 107호) (201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