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논문] 일제강점기 수원의 도시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 [Theses] A Study on Spatial Structures of Suwo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저자명 안국진(Ahn, Kug-jin) ; 최지해(Choi, Ji-Hae)
발행사 한국건축역사학회
수록사항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ol.28 No.4(통권 125호)(2019-08)
페이지 시작페이지(17) 총페이지(10)
ISSN 1598-1142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수원; 도시공간구조; 근대도시; 근대건축; 일제강점기 // Suwon; Urbanism; Spatial Structures; Modern Architecture; Japanese Colonialism
요약1 수원시는 1905년 경부선의 개통으로 본격적인 확장이 시작되었고, 수원역 주변에 일본인들이 모이면서 신도심이 형성되었다. 일제강점기 초 행정개편과 더불어 작성된 1911년 지적도와 토지조사부는 급변하던 수원 도시공간의 변화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다. 그러나 1930년대나 해방직후의 자료는 한국전쟁으로 인해 행방이 묘연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1905년 경부선 개통시기부터 1945년까지의 수원역에서 수원화성까지 이르는 지역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원의 행정구역 변화 과정을 밝힌다. 둘째, 수원의 도로체계 및 도시경관의 변천사를 규명한다. 셋째, 수원의 주요건축물의 위치 및 특징을 정리한다. 행정구역의 변화에서는 1936년 일본식 주소 체제로의 변화 과정에서 어떤 변화가 있었는가를 새롭게 분석하였다. 수원의 도로체계가 변하는 구체적인 시기와 순서를 정리하였다. 주요건축물의 위치는 관공서의 위치변화와 주요회사의 설립시기별 위치 등을 통해 수원의 도시구조를 파악하였다.
행정구역의 변화 중에서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1936년에 이루어진 일본식 주소체계로의 변화와 수원읍의 확장이었다. 6개의 ‘리’가 17개의 ‘정’으로 분할되면서 행정구역의 경계선 역할을 했던 주요도로가 행정구역의 중심으로 위치가 이동하면서 각 지역의 중심축 역할로 바뀌었다. 도로체계의 큰 변화는 먼저 1928년에 종로사거리~장안문간의 직선도로 건설을 시작으로 1930년대 초반에 증설된 팔달문~수원역간의 도로이다. 수원화성내의 유기적 형태의 곡선도로는 넓은 폭의 새로운 직선도로가 생기면서 원래의 중심도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고, 새 도로는 팔달문에서 장안문까지 직선으로 한 번에 연결되었다. 1930년대 초 팔달문~수원역간의 직선도로가 증설되면서 장안문에서 팔달문을 지나 수원역까지 한 번에 이어지는 도로가 완성되었다. 1936년의 행정구역 개편과 함께 이 도로는 수원의 중심축이 되었다. 주요 건축물의 위치와 특징에서 먼저 관공서의 경우, 일제 초기 화성행궁 건물을 차용하다가 일부 관공서가 신축·이전하면서 관공서의 분포는 화성내에서 동쪽으로 치우쳐 있던 것이 수원화성의 중심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종교시설의 경우, 수원신사가 수원향교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기 시작하고 그 주변으로 일본식 사찰이 모여들면서 일대가 종교시설 밀집지역으로 변하였다. 상업은 주요회사와 일반상점들은 팔달문 주변과 수원역 주변 두 지역에 주로 밀집하였다. 그 중에서 팔달문 주변 지역의 상업밀집도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요약2 After opening Suwon railway station in 1905, a new road was constructed between Suwon station and Paldalmun(the South gate). It was the starting point to change urban structures of Suwon and shape the new city scape. In 1914, administrative districts of Suwon were reorganized. Suwon-myeon (township, a subdivision of Suwon-gun) was promoted to Suwon-eup(town) in 1931. Suwon-eup expanded its territory and changed the address system from ‘li(里)’ system to Japanese address system, ‘Jeong(町)’ in 1936. From 1920s, road system was changed and transformed Suwon’s urban structures. A straight road was built from Jongro intersection to Janganmun(the north gate) in 1928. Another straight road was constructed between Suwon station to Padamun in the early 1930s. Public office buildings used the Hwa Seong HaengGung(華城行宮) and some of building moved to new location with new buildings. Main buildings of most schools in Suwon were reconstructed since 1930s. Commercial buildings and stores were sprung up and had their own characteristics by region. Around Suwon station, there are more hotels and restaurants than other areas. Rearranging administrative areas, developing road system and new buildings transformed Suwon’s spatial structures. Constructing new roads formed a straight road passing through Suwon. After reorganizing administrative areas, this road turned to be the central axis of Suwon. Buildings in new style on the axis made the modern cityscape in Suwon.
소장처 한국건축역사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근대기 수원의 건축 및 도시 변천사
윤인석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111)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근대기 수원(水原)의 시설유형과 도시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
백선경(Baek, Seon-Gyeong) ; 정혜진(Chung, Hae-Jin) ; 김광현(Kim, Kwang-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2 No.09 (201609)
[자료] 한옥의 설계와 시공기법
김도경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6(통권 61호) (200812)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