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커뮤니티 재생을 위한 빈집밀집구역의 실태조사와 재생방안 연구 / A Field Survey and Regeneration Strategy in Clusters of the Empty Homes ; Community Regeneration
저자명 박진경(Park, Jin-Kyung) ; 권혁삼(Kwon, Hyuck-Sam)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0 No.5(통권 제95호)(2019-10)
페이지 시작페이지(5) 총페이지(14)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빈집밀집구역; 실태조사; 재생방안; 커뮤니티 재생// Clusters of the Empty Homes; Field Survey; Regeneration Strategy;Community Regeneration
요약1 "본 연구는 지역 커뮤니티의 쇠퇴를 가속화시키는 빈집밀집구역의 실태를 조사하고 재생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정부는 2019년 4월 「소규모주택정비법」의 개정을 통해 빈집밀집구역을 도입하였다. 재정비촉진지구 해제구역 등 빈집밀집구역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 구역 내에사회취약계층의 거주비율이 높으며, 빈집의 대부분이 폭 3m 미만의 도로에 접해 있어 차량접근이 어렵고 관리상태가 불량한 실정이다. 이러한 빈집밀집구역의 환경개선을 위해서는 개별단위의 빈집정비사업뿐만 아니라, 빈집과 인접한 도로, 노후주택 등을 연계한 면적단위의 재생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문적 지식과 경제적 여력이 부족한 주민들이 스스로 재생사업을 추진하기에는 많은 한계가 있어 공공의 선도적 역할과 다각적 지원이 요구된다. 따라서 공공에서 빈집밀집구역 내에 개별단위의 빈집정비사업을 촉진하기 위한 민간협력 사업모델 발굴, 빈집정보은행 구축 등 공공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도로 등 부족한 기반시설을 확충하고 빈집과 노후주택 등을 연계한 자율주택정비사업 등 면적단위의 재생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of areas with high concentration of empty homes-clusters of empty homes-and to suggest regeneration strategy to revitalize these communities. The results of our survey showed that most of empty homes within the study area were adjacent to roads with less than 3m width-preventing vehicular access. Also, the neighborhood houses were deteriorating, and became deserted when the residents relocated to other regions. There is a limit to improve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areas with the clusters of empty homes due to the narrow roads and lack of infrastructur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take small-scale residential area regeneration projects covering improvement of empty homes, adjacent roads and deserted neighborhood. Since there are limitations in conducting such projects by residents themselves, participation of the public sector is necessary.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쇠퇴지역 빈집 특성 및 빈집 재생 시사점
박성남(Park, Sungnam)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9 No.1(통권 제85호) (20180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영국의 빈집정비 정책 및 사례 연구
박진경(Park, Jin-Kyung) ; 권혁삼(Kwon, Hyuck-Sam)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1 No.1(통권 제97호) (202002)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논문] 일본의 빈집을 활용한 지역사회 커뮤니티 거점공간 분석
박혜선(Park, Hae-sun) ; 은난순(Eun, Nan-Soon)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지 『의료·복지 건축』 : Vol.24 No.2(통권 71호) (201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