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논문] 한성부 중서 견평방에서 가택 칸수의 변화를 통해서 살펴본 「호구조사세칙」(1896)의 적용 양상-1903년과 1906년의 견평방 1통에서 23통까지를 대상으로- / [Theses] Application features of The detailed rules of Census (1896) through the change of house Kan numbers in Gyeonpyeong-bang, Jung-seo in Hanseong-bu-Focused on Gyeonpyeong-bang 1-tong to 23-tong in 1903 and 1906-
저자명 조윤오(Cho, Yun-O) ; 우동선(Woo, Don-Son)
발행사 한국건축역사학회
수록사항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ol.28 No.6(통권 127호)(2019-12)
페이지 시작페이지(19) 총페이지(12)
ISSN 1598-1142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한성부; 견평방; 한성부호적; 호구조사세칙; 광무 연간; 통호번; 호번; 결번호; 가번호; 가택 칸수; 적용 양상//Hanseong-bu; Gyeonpyeong-bang; Hanseong-bu Family Registry; Detailed rules of Census; Gwangmu Era; Tong-Ho Number; Ho Number; Vacant Ho; Additional Ho; House Kan Number; Application features
요약1 연구에서는 중서 견평방 내 가택의 칸수 변화를 통하여 「호구조사세칙(1896)」의 적용 양상을 살폈다. 「호구조사세칙(1896)」에서는 호적과 작통에 대하여 규정하였다. 특히 작통에 대해서는 열 개의 가호를 1개의 통으로 만드는 십가작통의 규칙을 설명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견평방의 통을 십가작통의 원칙에 비추어 불완전한 통, 가번호가 있고 10호 내 결번호가 없는 통, 가번호가 있고 10호 내 결번호가 있는 통의 3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이 세 가지의 통 유형은 십가작통을 향한 변화의 과정에 있기 때문에, 작통법의 구체적인 적용 양상을 실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합호가 일어난 가호에는 앞 통호번을 부여하며, 통간의 합호인지, 통내의 합호인지에 따라서 결번호의 발생 여부가 결정된다. 둘째, 분호가 일어난 경우에는 근접한 결번호의 존재 여부와 개수에 따라 통호번 편성의 방식이 달라진다. 셋째, 이거에 의한 통호번의 편성은 가번호와 10호 내 결번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일어난다.
요약2 This study explores the application aspect of The detailed rules of Census (1896) through the change of Kan numbers in Gyeonpyeong-bang. Although Gyeonpyeong-bang was a high-priority area because of its location, it was difficult to trace the operation of the urban situation due to lack of data. This study is focusing on restoring space and society in the Gyeonpyeong-bang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type of houses and the number of Kan listed in the family register of Hanseong-bu. The detailed rules of Census sets out provisions for the family registry and the rules of making Tong. Especially when it comes to the rules of making Tong, this rule deals with the code of making ten Hos into one Tong. This study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status of the Tong into three types: uncompleted Tong, exceeded Tong without vacant Ho number, and exceeded Tong with the vacant Ho number. Since these three types of Tong are in the process of change towards the complete Tong with 10 Hos, they were thought to be able to demonstrate the specific application of the rules.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as a case study that expands the point of existing research on the Tong making rules, which was not focused relatively on restoring urban conditions at that time, by looking at the changes in exceptions that deviated from the Sipgajaktong rule.
소장처 한국건축역사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서울 입정동 일대 도시조직의 적응 유형
우동선(Woo, Don-Son) ; 조윤오(Cho, Yun-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4 No.07 (201807)
원형적 공간 요소로 본 한국주택 평면형식의 통시적 고찰
전봉희(Jeon Bong-Hee) ; 권용찬(Kwon Yong-Cha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7 (200807)
1930년대 말 서울의 양관에 대한 연구
허유진(Huh, Yoo-Jin) ; 우동선(WooDon-S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9 n.7 (201307)
[논문] 도시형한옥 주거지의 블록구획과 주거평면의 관계에 관한 연구
오우근 ; 서현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2 n.3(통권 88호) (201306)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지적원도를 통하여 본 서울의 옛 도시조직
이상구 -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405)
대한제국기 한성부 종로일대지역의 住商복합구조
정정남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211)
[논문] 계와 동으로 본 서린방의 공간과 사회
이길훈(Lee, Kilhun) ; 우동선(Woo, Don-Son)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ol.27 No.2(통권 117호) (201804)
[논문] 중국 초기 불교사원 배치에 관한 연구
현승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2 n.1(통권 86호) (201302)
[논문] 1930년대 김종량의 H자형 한일절충식 도시주택
백선영 ; 전봉희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8 n.5(통권 66호) (20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