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논문] 조선후기 궁실건축에 사용된 격식기법의 유형과 변천 / [Theses] The Architectural Crafts as a Code of Manners and Their Historical Changes in Palatial Buildings and Royal Residenc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저자명 안소현(Ahn, So-Hyeon) ; 전봉희(Jeon, Bong-Hee)
발행사 한국건축역사학회
수록사항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ol.28 No.6(통권 127호)(2019-12)
페이지 시작페이지(43) 총페이지(12)
ISSN 1598-1142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격식기법; 궁실건축; 위계; 변천; 의장 요소; 여모판; 알추녀; 초엽; 사벽첩; 토소란; 동바리//The Architectural Crafts as a Code of Manners; Palatial Buildings and Royal Residences; Hierarchy; Changes; Design Element; Yeomopan; Alchunyeo; Choyeob; Sabyeogcheob; Tosolan; Dongbali
요약1 동아시아 건축에서 건물의 등급은 대개 규모, 지붕의 형태, 공포 형식을 기본으로 구분하고, 이에 더해서 기둥, 보, 도리, 기단, 초석 등의 가공 형태, 단청의 채색 여부로 판단해왔다. 이와 같은 구분은 통일신라 ??삼국사기(三國史記)??, ?옥사조(屋舍條)?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가사규제(家舍規制)? 에도 포함되어있다. 하지만 위의 규제 기준으로는 같은 등급의 건축이라도, 구분에 소속되지 않는 세부기법의 차이가 존재한다. 이 논문에서는 궁궐과 궁집, 재실 등 궁실건축(宮室建築)에서만 특별하게 보이는 고급의 건축기법을 ‘격식기법’이라 정의한다. 격식기법은 특징적인 세부 의장처리 기법들로, 재료의 가공과 부가적 요소로 볼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궁실건축에 사용된 격식기법의 유형과 변천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격식기법에 관한 연구는 향후 이루어질 문화재 보수, 복원 작업에 근거를 제공하고, 기법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문화재 원형 보존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요약2 The grade of East Asian architecture is generally classified by the size, the shape of the roof, and the type of bracket set. The craftsmanship of columns, beam, purlin, stylobate, column base stone and paintwork is also a contributing factor for such classifications. These classifications can be found not only in historical documents such as ?Oksajo(屋舍條)? of ??Samguksagi(三國史記)?? but also in ?house details regulations of residential architecture(家舍規制)? of Joseon Dynasty.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in detailed designs among the same grade of architecture regardless of the classification. In this research, the Palace, the Royal Residence(宮家), and the Jaesil(齋室) are considered as the Palatial Buildings and Royal Residences. And the advanced architectural ㅇdetails which appear only in the Royal Architectures are defined as the ‘The Architectural Crafts as a Code of Manners’. The Architectural Crafts as a Code of Manners is detailed design, which can be seen as fabrication of materials and supplementary factors. The Architectural Crafts as a Code of Manners used in the Palatial Buildings and Royal Residences reveal the types and their historical changes. This research will present a basis for the repair and restoration of cultural heritages to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and also prevent them from further damages, thus help to preserve the cultural heritages.
소장처 한국건축역사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숭례문과 흥인지문의 구조체계 비교 연구
이왕기(Lee Wang-Kee) ; 김상조(Kim Sang-J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
근대기 목조 지붕트러스의 유형분류 및 특징에 관한 연구
박창범(Park Chang-Beom) ; 김미연(Kim Mi-Yeon) ; 김태영(Kim Tai-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
[논문] 백제계 및 신라계 가구식 기단과 계단의 시기별 변화특성
남창근 ; 김태영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1 n.1(통권 80호) (201202)
조선후기 선자연 치목기법에 관한 연구
김왕직(Kim Wang-Ji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5 (201005)
안초공의 발생과 변천에 관한 연구
이혜린 ; 황종국 - 대한건축학회 춘계 우수졸업논문전 수상논문 개요집 : 제6회 (201004)
조선초 객사 건축에 관한 연구
이연노(Lee Yeon-Ro) ; 주남철(Joo Nam-Chull)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12 (200412)
일출목 초익공 공포의 기원과 변천
전해완(Chun, Hae-Wan) ; 류성룡(Ryoo, Seong-Lyong)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ol.29 No.3(통권 130호) (202006)
고려말 조선초 다포건축 공포의 결구 특성에 관한 연구
이연노 ; 주남철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19 n.8 (20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