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영국의 빈집정비 정책 및 사례 연구 / Empty Homes Policy and Project Cases in the UK
저자명 박진경(Park, Jin-Kyung) ; 권혁삼(Kwon, Hyuck-Sam)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1 No.1(통권 제97호)(2020-02)
페이지 시작페이지(35) 총페이지(17)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빈집; 빈집정비 정책; 사례조사; 영국 // Empty Homes; Empty Homes Policy; Case Studies; UK
요약1 영국은 1997년 빈집정비 정책을 시행하여 2016년 빈집의 수가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가시적성과를 거두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국의 빈집정비 정책과 추진사례를 분석하고 국내 빈집정비 정책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국의 경우 빈집 문제를 사회 문제로 인식하고 빈집정비 정책을 도입하였으며 집권정당에 따라 정책기조가 변화하였다. 빈집정비 정책도입기(노동당정부, 1997~2010)에는 빈집의 수를 줄이기 위해 철거위주의 정책을 시행하였고 정책 활성화기(연립정부, 2010~2015)에는 빈집의 재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정책을 시행하였다. 이후 빈집의 수가 줄어들면서 2010년 중반부터 지원정책을 축소하였고 그 결과 2017년 빈집의 수가다시 증가하였다. 영국의 빈집정비 정책은 행정지원, 제도지원, 세제지원, 재정지원의 4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빈집정비 사례 5개를 분석하였다. 영국의 경우 중앙정부의제도적ㆍ재정적 뒷받침 아래 지방정부가 빈집정비를 주도하고 다양한 시민단체가 참여하여 임대주택 공급, 작업공간 활용 등 빈집을 다양하게 재활용하고 있으며, 이는 국내 빈집정비 정책에시사하는 바가 크다.
요약2 The UK implemented an empty homes policy in 1997, resulting in the lowest number of empty homes in 2016.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empty homes policy and cases in the UK and discuss futur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empty homes policy in Korea. The increase of empty homes in the UK had been recognized as a social problem and related policies were introduced and changed as the ruling political party changed. While the focus of policy was on demolition in the labor government of 1997-2010, it was on recycling in the coalition government of 2010-2015. Since then, the government scaled back its support in mid-200s, as the number of empty homes decreased. As a result, the number of empty homes has been on the rise again since 2017. The UK’s empty homes policies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administrative support, institutional support, tax support, and financial support. Five cases of empty home maintenance projects were examined in the four types. In the UK, local governments lead the maintenance of empty homes under the institutional and financial support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various civic organizations participate in recycling empty homes, including supply of rental housing and utilization of working space. This has implications for the empty homes policy in Korea.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쇠퇴지역 빈집 특성 및 빈집 재생 시사점
박성남(Park, Sungnam)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9 No.1(통권 제85호) (2018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일본의 빈집문제 대응체계에 관한 고찰
이동훈(Lee, Dong-Hoon)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8 No.1(통권 제79호) (2017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논문] 일본의 빈집을 활용한 지역사회 커뮤니티 거점공간 분석
박혜선(Park, Hae-sun) ; 은난순(Eun, Nan-Soon)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지 『의료·복지 건축』 : Vol.24 No.2(통권 71호) (201806)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구시가지 빈집 발생의 원인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전영미(Jeon, Youngmee) ; 김세훈(Kim, Saehoon)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7 No.1(통권 제73호) (201602)
일본의 빈집은행 운영현황 고찰
이동훈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66호 (201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