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석굴암의 돌은 말한다: 석불사 석굴의 건축 평면과 벽면 설계 / The Stones of Seokguram Speak: Floor Plan and Wall Design of Seokbulsa Grotto
저자명 윤재신(Yoon, Chae-Shin)
발행사 한국건축역사학회
수록사항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ol.29 No.1(통권 128호)(2020-02)
페이지 시작페이지(21) 총페이지(17)
ISSN 1598-1142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석굴암; 석불사 석굴; 기본 설계; 대칭축; 불상 판석; 배치 그리드 // Seokguram; Seokbulsa Grotto; Preliminary Design; Symmetric Axis; Buddhist Flagstone; Layout Grid
요약1 본 논문의 목적은 석불사 석굴의 평면과 벽면 설계를 합리적으로 도출하려는 것이다. 본 연구의 내용은 현재 석굴암의 건축 형태를 분석하고, 석불사 석굴의 준공된 건축 형태를 점검하여, 석불사 석굴의 평면과 벽면 설계를 합리적으로 추론하는 것이다. 석불사 석굴은 ‘정합적 모듈’로 설계되고, ‘모듈 부품’의 정합으로 건식 시공되었다. 그러나 석불사 석굴은 수리공사의 습식 시공으로 일체화됨으로써, 좌우 대칭이 미세하게 일그러진 석굴암으로 재창조되었다.

석불사 석굴의 설계에서 공간 대칭축은 유지되면서 정합적 모듈 설계가 이루어졌다고 가정했다. 『석굴암 수리공사 보고서』에서 임의로 창안한 허구의 ‘대불상시준선(對佛像視準線)’은 공간 대칭축의 설계 원리를 약화시켰다. 불상판석의 폭은 4당척으로 설계되었다. 주실 안상석의 길이 치수를 분석해 보면, 석불사 석굴의 평면 설계는 1/4당척 단위의 그리드에 바탕을 두고 이루어졌다는 합리적 추론이 가능하다. 석불사 석굴을 지배하는 설계 원리는 ‘공간 대칭축’과 ‘정합적 모듈 설계’ 및 ‘1/4당척 단위의 평면 그리드’이다.

석불사 석굴의 평면 설계를 다음과 같이 추론한다. 주실에서 안상석 직경은 24당척이고, 불상판석 직경은 241/2당척이다. 전실에서 안상석 사이의 폭은 22당척이고, 깊이는 12당척이지만, 불상판석 사이의 폭은 221/2당척이고, 깊이는 12당척이다. 통로에서 안상석 사이의 폭은 111/2당척이고, 깊이는 9당척이지만, 불상판석 사이의 폭은 12당척이고, 깊이는 83/4당척이다. 주실 중심에서 통로 입구까지의 거리는 101/2당척이다. 그러므로 석불사 석굴의 평면 설계에서 종 방향의 전체 길이는 안상석 레벨에서 431/2당척이고, 불상판석 레벨에서 44당척이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asonably derive the plan and wall design of Seokbulsa Grotto.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architectural forms of the current Seokguram, to
examine the completed architectural forms of the Seokbulsa Grotto, and to reasonably infer the
plan and wall design of the Seokbulsa Grotto. Seokbulsa Grotto was designed as 'coherent
modules' and was built by the dry construction method of coordinating 'module parts'. The design
principles governing Seokbulsa Grotto are the spatial axis of symmetry, modular coordination, and
the plan grid of a quarter Tang-Ruler(TR: 唐尺). The plan design of the Seokbulsa Grotto is inferred
as follows. In the main chamber, Ansang-stone’s diameter is 24TR, and Flagstone’s diameter is
24.5TR. In the front chamber, the width between the two Ansang-stones facing each other is 22TR
and Ansang-stone’s depth is 12TR, while the width between the two Flagstones facing each other is
22.5TR and Flagstone’s depth is 12TR. In the passageway, the width between the two Ansang-
stones facing each other is 11.5TR and Ansang-stone’s depth is 9TR, while the width between the
two Flagstones facing each other is 12TR and Flagstone’s depth is 8.75TR.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main chamber to the entrance of the passageway is 10.5TR. Therefore, the total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plan design of Seokbulsa Grotto is 43.5TR at the level of
the Ansang-stones, and 44TR at the level of the Flagstones.
소장처 한국건축역사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조선왕릉 8간(間) 정자각(丁字閣) 고찰
김왕직 -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805)
[논문] 백제계 및 신라계 가구식 기단과 계단의 시기별 변화특성
남창근 ; 김태영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1 n.1(통권 80호) (201202)
조선후기 선자연 치목기법에 관한 연구
김왕직(Kim Wang-Ji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5 (201005)
숭례문과 흥인지문의 구조체계 비교 연구
이왕기(Lee Wang-Kee) ; 김상조(Kim Sang-J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원형적 공간 요소로 본 한국주택 평면형식의 통시적 고찰
전봉희(Jeon Bong-Hee) ; 권용찬(Kwon Yong-Cha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7 (200807)
전통 목구조 살림집의 회첨부 결구방식에 관한 연구
박새미 ; 장헌덕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