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생활SOC의 공간적 형평성 분석: 경기도 5대 대도시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Life SOC Accessibility for Spatial Equity
저자명 이혜령(Lee, Hye-Ryeong, Jung, Hyo-jin) ; 정효진(Lee, Hee-chung) ; 이희정()
발행사 한국지역개발학회
수록사항 한국지역개발학회지 , Vol.32 No.1(2020-03)
페이지 시작페이지(69) 총페이지(20)
ISSN 1225-9055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생활SOC, 네트워크 분석, 접근성, 형평성, 경기도//Living Social overhead capital; Network analysis; Accessibility; Equity; Gyeonngi-Province
요약1 도시환경에서 공간적 형평성은 도시 시설 서비스가 주민의 사회경제적 위치에 상관없이 형평성 있는 시설 분배와 동등한 접근성과 관련된다. 본 연구에 서는 경기도 수원시, 용인시, 고양시, 성남시, 부천시를 대상으로 환경정의를 위한 생활 SOC 접근성의 형평성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대상은 마을단위 도보권 생활 SOC이며, 사회경제적 계층은 평균지가와 유아인구비율, 고령인구비율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사회경제적 계층 간에 접근성에 차이는 표준지가가 평균 이상인 A그룹에서는 12개 시설에 대한 접근성과 평균거리 모두 B그룹 보다 가깝게 나타났으며, 독립T검정 결과 그룹 간 차이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노인인구비율이 평균보다 낮은 A그룹이 도서관, 의원, 공원시설에 서 B그룹보다 최단거리가 가까우며, 두 그룹간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유아인구비율이 평 균보다 낮은 A그룹이 B그룹보다 유의수준 0.01에서 경로당, 소매업, 주차장시설이 가깝고 유의 하게 나타났다. 사회경제적 요인이 생활SOC 접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독립변수인 ‘유아인구비율’, ‘고령인구비율’, ‘평균지가’에 대한 영향력은 각 4.685, 6.133, -6,589이며, 모두 .000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조건이 유사한 대도시 내에서도 행정동별, 시설별 최단접근거리는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사회 경제적 계층 간 접근성도 차이가 있었다. 추후 생활SOC 확충을 위한 과정에서 형평성 있는 접근성 제고와 주민들이 다양한 시설을 지역, 계층 간의 차별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공정한 분배 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려되어야 한다.
요약2 In urban environments, spatial equity relates to equal accessibility of urban facilities services and equitable distribution of facilities, regardless of the social position and economic status. This study analyzed the equity of accessibility of Living SOC for Spatial Equity in Suwon, Yongin, Goyang, Seongnam, and Bucheon in Gyeonggi-do. The targets of the analysis are town-level of the walkable Living SOC, and the average land price, the infant population ratio, and the elderly population ratio were utilized to define the socio-economic status. As a result, the difference in accessibility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was found to be closer to Group A than to Group B for accessibility to 12 facility. Independent T test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Group A, whose percentage of the elderly and infant was lower than the average, was closer to facilities than group B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influence on the independent variables ‘infant population ratio’, ‘aged population ratio’, and ‘average land price’ were 4.685, 6.133, -6,589 respectively. Even within large cities with similar conditions, the shortest approach distances by Hangjeong-dong and facillities showed differences between social and economic classes. Further discussions are needed for ensuring fair distribution and access across classes in progress of expanding Living SOC.
소장처 한국지역개발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생활SOC의 범위 및 시설의 유형별ㆍ지역별 특성 연구 - 경기도 생활SOC 현황 및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조희은(Jo, Hee-Eun) ; 남지현(Nam, Ji-Hyun)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0 No.5(통권 제95호) (201910)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생활 SOC 유형화를 위한 해외 선행연구 분석
김연수(Kim, Yeonsoo) ; 김세용(Lee, Seiyong)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39 No.1 (201904)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특집] 포스트 코로나19 도시계획의 과제와 방향
정재용(Chung, Jae-Yong)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4 No.06 (202006)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지역특성을 고려한 스마트 축소 도시재생 전략 연구
성은영(Seong, Eunyoung) ; 임유경(Lim, Yookyoung) ; 심경미Lim, Yookyoung ; 윤주선(Yoon, Zoosun) - 연구보고서(기본) : 2015 No.10 (201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