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일출목 초익공 공포의 기원과 변천 / The Origins and Changes of One Chulmok-One Ikgong Bracket-Sets in the Joseon Dynasty
저자명 전해완(Chun, Hae-Wan) ; 류성룡(Ryoo, Seong-Lyong)
발행사 한국건축역사학회
수록사항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ol.29 No.3(통권 130호)(2020-06)
페이지 시작페이지(79) 총페이지(12)
ISSN 1598-1142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공포(?包); 익공(翼工); 출목익공(出目翼工); 일출목 초익공(一出目初翼工); 조선시대(朝鮮時代) // Gongpo; Ikgong; Chulmok Ikgong; 1 Chulmok 1 Ikgong; Joseon Dynasty
요약1 출목익공 이라고 하면 일출목 이익공만을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출목이 하나 있을 때 익공이 한개 사용되는 건축부터 세개 사용되는 건축까지 다양하게 확인된다. 그 중 일출목 초익공은 무출목 초익공과 공포의 기본 단수는 같고, 처마도리가 추가되면서 일출목 초익공 형태가 되는 것에 착안하여 일출목 초익공 건축의 발생과 변화양상에 주안점을 두었다.
봉화 청암정은 16세기 창건된 건물로 본래 무출목 초익공형식에서 일출목 초익공으로 보수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보뺄목이 주두 상부에서 직절되어 처마도리를 받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처마도리장여 하부의 소로가 주두 결구 높이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점, 하나의 건축 내 공포 형식의 위계 차이가 크다는 점에서 확인된다. 17세기 초반에 건축된 전주향교 대성전은 주심포 형식으로 살미가 상부의 보뺄목과 떨어져 있는 형태이다. 17세기에는 헛첨차가 사라진 일정한 모습이 널리 사용됨을 알 수 있으며 18세기 말에는 수원화성 동장대와 같이 행공을 추가한 의장적인 형태로 변화함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일출목 초익공 건축은 헛첨차의 주심포 공포 중 전주향교 대성전과 같은 형식에서 발전하였다. 무출목 초익공에서 일출목 초익공으로의 변화는 처마도리의 위치 및 주심도리 하부 부재의 높이 차이로 판단된다.
요약2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Gong-po style is divided into the Jusimpo, Dapo and Ikgong. Jusimpo and Chulmok-Ikong, where only Gong-po is placed on the column, differ in form of Gong-po depending on the viewpoint. Since ‘Chulmok-Ikgong’ has been generally regarded as ‘One Chulmok-Two Ikgong’, the precedent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mainly on ‘One Chulmok-Two Ikgong’ in the Gong-po style classification. However, when it comes to ‘One Chulmok’, the style of Ikgong can be organized from the one to three steps and this study is particularly for examining the occurrence and transformation of ‘One Chulmok-One Ikgong’. One of the case study sites, Bonghwa Cheongamjeong was originally built in the 16th century, and is believed to have been repaired from ‘Non Chulmok-One Ikgong’ to ‘One Chulmok-One Ikgong’. Since the beam linked directly to the upper part of a capital, it does not connect the eave trave(architrave) in between. Also, Soro which supports Jangyeo(the architrave strip) has been placed and linked in comparatively lower position. It is confirmed by the signigicant difference in the hierarchy of Gong-po forms in one architecture. The Jeonju-Hyanggyo Daeseongjeon, which was built in the 17th century among the subjects, was similar with ‘One Chulmok-One Ikgong’, but it was found to be the type of Jusimpo form because the bottom of the beam and the top of the Ikong are apart. And Gongan is confirmed at Cheomcha. In the 17th century, it can be seen that Heot-Cheomcha disappeared and Ikgong was started to use as a constant figure. The end of the 18th century, it can be seen that it was changed into a ornament added on Haeng-gong, being seen in the case of Hwaseong Dongjangdae.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One Chulmok-One Ikgong’ were developed in both the Jusimpo and Ikong style. The transformation into ‘One Chulmok-One Ikgong’ was inevitable consequence related with an elevation difference between the eave trave and the column trave.
소장처 한국건축역사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논문] 백제계 및 신라계 가구식 기단과 계단의 시기별 변화특성
남창근 ; 김태영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1 n.1(통권 80호) (201202)
조선후기 선자연 치목기법에 관한 연구
김왕직(Kim Wang-Ji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5 (201005)
안초공의 발생과 변천에 관한 연구
이혜린 ; 황종국 - 대한건축학회 춘계 우수졸업논문전 수상논문 개요집 : 제6회 (201004)
전통 목구조 팔작지붕 추녀부재의 구조적 보강 특성에 관한 연구
조철희(Cho Cheol-Hee) ; 신용석(Shin Yong-Seok) ; 조윤희(Cho Youn-Hee) ; 노성열(No Seong-Ryeol) ; 김정섭(Kim Jeong-Sup)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26 n.03 (201003)
출목익공 기원과 변천에 관한 연구
유성룡 ; 주남철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v.13 n.4 (199704)
근대기 목조 지붕트러스의 유형분류 및 특징에 관한 연구
박창범(Park Chang-Beom) ; 김미연(Kim Mi-Yeon) ; 김태영(Kim Tai-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
[자료] 한옥의 설계와 시공기법
김도경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6(통권 61호) (200812)
고려말 조선초 다포건축 공포의 결구 특성에 관한 연구
이연노 ; 주남철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19 n.8 (20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