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역세권 청년주택사업이 도시재생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사업과 입주민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Effects of Youth-Housing Project in the Station Area on Urban Regeneration - Focused on Seoul’s Youth-Housing Project and Residents’ Perception Survey
저자명 오시시(Wu, Shishi) ; 한기성(Han, Gi-Sung) ; 박하린(Park, Ha-Rin) ; 오상헌(Oh, Daniel)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2 No.5(통권 제107호)(2021-10)
페이지 시작페이지(73) 총페이지(17)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도시재생; 역세권 2030청년주택; 입주민 인식조사 // Urban Regeneration; 2030 Youth-Housing in Station Area; Residents’ Perception Survey
요약1 2019년부터 시작된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사업은 도심 내 역세권에 청년층에게 주거를 지원하는 정책으로써 청년들을 대상으로 도심 내에 주거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한편,?? 같은 젊고 활동적인 연령층의 유입을 추구하는 도시재생 정책과는 무관하게 추진되는것을 확인하고,?? 본 연구는 문헌 고찰과 설문조사를 통해 서울시가 추진하는 역세권 청년주택사업과 도시재생사업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분석해 두 사업의 상생방안을 제시하고,?? 청년이지역 활성화에 이바지할 역할을 모색한다.?? 연구 결과,?? 역세권 청년주택사업을 통해 도시재생사업의 핵심 문제인 주차,?? 커뮤니티시설 부족 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판단하였다.?? 또한,?? 청년주택사업으로 유입된 청년을 도시재생사업을 통한 지역사회 발전과 경제 활성화로 연계할방안을 제시하였다.?? 도시재생 관련 프로그램을 잘 아는 입주자는 지역 애착심,?? 도시재생 개념과사업 인지도가 높게 나타났고,?? 역세권 청년주택과 도시재생사업지의 위치가 가까울수록 입주민의 지역 문제의 인식도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역세권 청년주택이 도시재생지역 내 또는 주변에위치하였을 때 도시재생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토대로 역세권 청년주택정책과 도시재생정책이 연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요약2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he Youth-Housing project on urban regener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aims to provide coexistence plans for Youth-Housing and urban regeneration and explores the roles of youth in local revitalization. First of all,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Youth-Housing project in the station area of urban regeneration will provide solutions for parking issues and communities spaces. Second, this study proposed plans to connect youth to economic and social revitalization. Third, residents who know better about urban regeneration programs have higher local attachment and awareness of urban regeneration and projects. Also, the closer of Youth-Housing project location and urban regeneration sites is, the higher the awareness of local problems among residents was found.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역세권 청년주택 공급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연구 - 서울시 송파구 잠실동 역세권 청년주택 사례를 중심으로
이우형(Lee, Woo-Hyung) ; 서충원(Seo, Chung-Won)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1 No.2(통권 제98호) (202004)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역세권 청년주택 커뮤니티시설 운영 현황 및 선호에 대한 연구
이장원 ; 최정민 -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21 Vol.2(추계) (202111)
청년 1인가구를 위한 스마트 공유주거 커뮤니티 모델 개발
양서정(Shu Ting Yang) ; 김미정(Mi Jeong Kim)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ol.32 No.3 (202106)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한 건축 계획적 대응 방안 연구
김민석(Kim, Minseo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7 No.02 (202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