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복합환승센터 권역을 중심으로 살펴본 3기 신도시의 복합화ㆍ입체화 공간계획 특성 연구 - 인천 계양, 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 신도시를 중심으로 / Exploring Characteristics of Third-Phase New Towns’ Multi-functionalㆍ Multi-layered Spatial Plan, Focusing on Multi-Modal Transit Hubs - Gyeyang, Wangsuk, and Gyosan New Towns as Case Studies
저자명 이지은(Lee, Jeeun) ; 주혜린(Joo, Hyerin) ; 전아현(Jeon, Ahyun) ; 김홍기(Kim, Hong-gi) ; 김벽연(Kim, Byokyeo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3 No.1(통권 제109호)(2022-02)
페이지 시작페이지(5) 총페이지(16)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3기 신도시; 복합화; 입체화; 복합환승센터; 설계기법; 인천 계양; 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 // Third-phase New Town; Multi-functional Use; Multi-layered Use; Transit Hub; Urban Planning; Gyeyang; Wangsuk; Gyosan
요약1 본 연구는 대중교통 거점시설 권역을 중심으로 3기 신도시의 복합화ㆍ입체화 공간계획 특성을 파악하여 이에 관한 기초자료를 수립하고자 한다.?? 문헌연구를 통해 설계공모 지침서에서 강조된 3기 신도시의 복합화ㆍ입체화 설계방향과 과제를 이해하고 네 가지 분석항목을 도출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인천 계양,?? 남양주 왕숙 1,?? 하남 교산 신도시의 설계공모 당선작에 실린 계획안과 토지이용계획도를 분석하고,?? 다음과 같이 세 가지 계획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대중교통 거점시설 및 이를 중심으로 형성된 보행권 안에 주거와 직장뿐만 아니라 문화여가와첨단산업까지 용도복합의 대상을 확대하였다.?? 둘째,?? 수평방향에서의 적극적인 용도혼합을 통해단일용도의 지역과 블록 구획을 지양하였으나,?? 대중교통 거점시설 내에서 수직방향으로의 용도혼합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하층에서 지상2층까지 이동수단별로 분리된 대중교통망과 녹지 중심의 공중보행로를 구축하고,?? 이를 대중교통 거점시설로부터 도시 전체로 연계ㆍ 확장하였다.
요약2 In this study, we reveal the features of third-phase new towns’ urban planning by focusing on the multi-functional and multi-layered spatial plan, which is transit-oriented. As for the research method, we extracted four measures suitable for study site analysi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Following this, we analyzed competition winners’ master plans and land use plans of three study sites, namely, the new towns of Gyeyang, Wangsuk 1, and Gyosan. As a result, first, we found that third-phase new-town urban planning allows a mix of residential, commercial, business, cultural, recreational, and even high-tech industrial uses within walking distance. Second, it minimizes single function districts and blocks by mixing uses horizontally, but the vertical combination of uses in buildings barely appears. Third, it establishes the multi-layered street structure of the transit hub with two stories above ground and one basement level for different modes of transportation. In particular, elevated pedestrian streets are connected to the major transit hub.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복합환승센터의 도시공간상 유기적 연계 특성에 관한 연구 - 샌프란시스코의 트랜스베이 트랜싯 센터 중심으로 -
박용서(PARK, YONG SEO); 정용화(YONGHWAJUNG) - 한국주거환경학회 논문집 <주거환경> : Vol.18 No.1(통권 제47호) (202003)
철도역사 복합환승센터 계획에 관한 연구
석영석(Seok, Young Seok) ; 강철희(Kang, Chul Hee)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38 No.1 (201804)
사람 중심 가로 조성을 위한 도시설계 연구
임유경(Lim, Yookyoung) ; 성은영(Seong, Eunyoung) ; 임강륜(Lim, Kang Ryoon) - 연구보고서(기본) : 2015 No.06 (201510)
수변공간 활성화를 위한 도시계획 및 설계방향
권영상 ; 조민선 - 연구보고서(기본) : 2010 n.5 (201012)
아모레퍼시픽 사옥 설계사례
최도석 - 설비저널(대한설비공학회지) : Vol.47 No.12 (201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