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종합병원 건립 타당성 조사의 연면적 계획 개선방안 - 공공의료기관 재정사업 예비타당성조사 사례를 중심으로 / Improvement of Total Floor Area Planning for the Feasibility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General Hospital - Focused on Pre-feasibility Study of KDI Case Analysis
저자명 조준영(Cho, Junyoung)
발행사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수록사항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지 『의료·복지 건축』 , Vol.30 No.1(통권 94호)(2024-03)
페이지 시작페이지(37) 총페이지(8)
ISSN 19753349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주제어 종합병원; 타당성조사; 연면적 계획 // General Hospital; Feasibility study; Total floor area planning
요약2 Purpose: The planning of medical facilities involves formulating a comprehensive medical basic plan, translating it into spatial dimensions through a space program. Feasibility assessment often relies on empirical methods like floor area per bed. However, with the shift towards specialized medical concepts, proportional scaling to bed numbers is challenging. This study proposes scale planning improvements during the feasibility assessment stage for comprehensive hospitals, analyzing cases using area determination factors and standard areas based on medical resources. Methods: The Korean Development Institute's Public Investment Management Center (KDI) identified issues in the scale determination of medical facilities in th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Guidelines and investigated alternative approaches for determining the scale of a case that passed th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in 2019. The study assessed the feasibility of applying individual factors to determine not only the number of beds but also the scale at the sector and department levels. Additionally, a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number of beds and various area determination factors. Results: Results suggest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otal beds and major equipment needs, but in hospitals with <500 beds, this correlation weakens. Ward section scale is better calculated per ward type, not just total beds. Outpatient department scale depends on specialists, influencing treatment room numbers. Medical personnel play a crucial role in determining the scale of sections like rehabilitation therapy rooms, operating rooms, dialysis rooms, and overall facility scale.
소장처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특집] 병원 설계 동향
조준영(Cho, Jun-young)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6 (201706)
실무자를 위한 병원설비의 이해
박은동 ; 김효준 - 대한설비공학회 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201206)
대도시 종합병원의 15년간 규모 변화 - 2005년 이후 서울특별시 소재 종합병원의 병상수와 연면적 변화
조준영(Cho, Junyoung)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지 『의료·복지 건축』 : Vol.28 No.1(통권 86호) (202203)
국내 종합병원의 유형별 연면적 현황에 관한 연구
조준영(Cho, Jun-Young) ; 양내원(YangNae-W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9 n.11 (201311)
[논문] 국내 종합병원의 병상규모에 따른 의료자원 분석
조준영(Cho, Junyoung) ; 양내원(Yang, Naewon)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지 『의료·복지 건축』 : Vol.23 No.2(통권 67호) (201706)
의료시설의 면적산정 기준
조준영(Cho, Junyoung)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8 No.1 (201705)
종합병원의 공용면적과 기계전기실 면적 프로그램 개선방안
조준영(Cho, Jun-Young) ; 양내원(YangNae-W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30 n.11 (201411)
[프로젝트 리뷰] 국립중앙의료원 신축·이전 및 중앙감염병병원 건립 설계공모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Haeahn Architects) ; ㈜종합건축사사무소 디자인캠프문박디엠피(design camp moonpark dmppartners)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지 『의료·복지 건축』 : Vol.29 No.4(통권 93호) (202312)
[논문] 국내 권역외상센터의 공간구성 및 면적구성에 대한 건축계획적 연구
박수로(Park, Suroh) ; 박재승(Park, Jaeseung)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지 『의료·복지 건축』 : Vol.23 No.3(통권 68호) (201709)
[논문] 중환자실 시설기준 작성을 위한 기본시설 수준 설정 연구
윤형진(Yoon, Hyung Jin) ; 조준영(Cho, Jun Young)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지 『의료·복지 건축』 : Vol.23 No.3(통권 68호) (201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