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한국의 영조척도 / The Measuring Units of Scale in Korean Architecture
저자명 윤장섭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19 n.63(1975-03)
페이지 시작페이지(2) 총페이지(9)
ISSN 12251666
주제분류 역사 / 계획및설계
요약1 원시시대에 문화활동이 싹트기 시작할 때부터 인류는 물건의 대소장단을 계측하기 위한 척도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 단위가 점차적으로 정비되어서 생활용구의 제작 및 건축공간과 인위적 환경조성의 기준이 되었다. 역사상으로 세계의 많은 민족들이 사용하였던 척도단위를 비교연구하여 보면 어느면에서 공통되는 유사성을 찾아볼 수 있다. 인간은 자기가 만든 물건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는 단위를 필요로 하였으며, 인간의 창작활동과 주위세계를 연결시킬 수 있는 척도의 단위가 필요하였다. 이와같은 척도단위는 항상 손쉽게 이용될수 있어서 안정하고 변화가 적으며, 표현이 직접적이어야 하였음으로 상고시대사람들은 인간자체의 지강, 수장, 촌장, 족장, 및 신장등을 척도의 단위로 삼아서 직접적인 척도의 비교체제를 만들어 사용하였든 사실은 고대문화활동에 있어서 세계각국에 공통적으로 찾아 볼 수 있는 현상이다.본 논문은 한국건축에 사용된 영조척도의 기원과 역사적 변화에 대하여 조사연구한 것이다. 건축계획설계와 구조시공등의 모든 건축활동은 인간의 잠재적 의식을 통하여 형성되는 건축구상 (idea)를 구현하기 위하여 특유한 "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의 어휘를 사용하게 되며 그 중에서도 척도, 형태 및 색채는 기본적인 삼대요소가 된다. 특히 척도는 건축조형활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본요소라고 생각하며 이와같은 관점에서 보아 한국의 영조척도의 기원과 역사적 변천을 규명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원시시대에는 인체를 이용한 신도척이 사용되었으며, 그 예로서 한뼘(수장), 한길(신장), 한발(심장)등이 척도의 단위는 지금도 손쉽게 눈어림으로 길이을 계측하는데 보통 사용되고 있음은 주지하는 바이다.
요약2 This study was made to investigate the orighin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measuring units of scale in Korean architecture.Architectural design is to be a specific language of communication for the expression of subconsious ideas, then it must have its own elementary codes of scale, form and colour; thus giving scale a place in a basic triumvarate of visual design. In this context a historical investigation of the measuring units of scale in Korea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Korean architecture more properly.In the prehistoric age human body was utilized as the measuring unit of scale for instance span of hand, size of foot, pace,height, fathom and etc..And this kind of measurement have been used for approximation of lenght in daily life up to the present.Since ancient period the standdards of measuring system of Han-dynasty in China was adopted under the ifluence of Chinese Culture and Han-scale (23.0cm. of unit length) was used in Lo-lang period of Korea. During the Three-dynasty period Koryo-scale (35.6328 cm. or 35.0571 cm. of unit length) was used and this measuring unit of scale was utridyced to ancient Japan.In the period of Jnified Silla Tang-scale (29.694 cm. of unit length) was used in architecture, and this scale successively utilized up to the recent time without extravagant change of unit length. During Koryo-dynasty the unit length of scale was slightly increased and the unit length was 30.785~31.027 centimeter in authors estimate.By the reign of King Sejong of Choson-dynasty the Whangchong-scale (34.66cm. of unit length) was verified in order to clarify the fundamental tone of Korean classical mrsic. About nine tenth of unit length of Whangchong-scale was called Yongjo-scale namely architectural scale (30.96cm. of unit length) and this scale was utilized in producing musical instrument, architecture and ship beilding, and in other ordinary affairs. From the year of 1902 ten-thirty third of one meter (30.3cm.) have been used as a used as a unit length of scale.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柱心包 팔작지붕의 轉角部 결구방식에 관한 硏究
류성룡(Ryu Seong-Ly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2 (200602)
[논문] 백제계 및 신라계 가구식 기단과 계단의 시기별 변화특성
남창근 ; 김태영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1 n.1(통권 80호) (201202)
전통 목구조 살림집의 회첨부 결구방식에 관한 연구
박새미 ; 장헌덕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211)
조선후기 선자연 치목기법에 관한 연구
김왕직(Kim Wang-Ji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5 (201005)
숭례문과 흥인지문의 구조체계 비교 연구
이왕기(Lee Wang-Kee) ; 김상조(Kim Sang-J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
안초공의 발생과 변천에 관한 연구
이혜린 ; 황종국 - 대한건축학회 춘계 우수졸업논문전 수상논문 개요집 : 제6회 (201004)
多包건축의 귀포 形式 變遷에 관한 硏究
류성룡(Ryoo Seong-Ly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6 (200606)
고려말 조선초 다포건축 공포의 결구 특성에 관한 연구
이연노 ; 주남철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19 n.8 (20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