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19世紀末 慶尙監營建築의 配置構成에 관한 硏究 / A Study on the Dispositional Structure of Kyungsang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KamYoung) in the late 19th century.
저자명 조영화
발행사 한국건축역사학회
수록사항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9 n.2(2000-09)
페이지 시작페이지(33) 총페이지(16)
ISSN 15981142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19세기 ; 경상감영건축 ; 조선 후기 ; 자료2
요약1 본 연구는 경상감영과 관련된 기록과 가시적인 자료인 지도와 사진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 경상감영건축의 배치구성체계를 복원하여 그 배치구성을 직제와 관련시켜 해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상감영건축이 최종적으로 고정화되는 19세기말을 대상시기로 삼았으며, 당시 대구의 관아는 監營을 위시하여 府衙, 客舍, 鎭營, 中營 등으로 이루어졌으나 본 연구에서는 감영건축의 직접적인 시설인 감영과 여기에 부속된 중영만을 주 대상으로 하였다.

(서론에서..)
요약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struction of Kyungsang KAMYOUNG in the late Chosun dynasty by restoring its constructive system and relating it with the office organization.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is study.
1. Government office of Daegu consists of inn(KAEGSA), Kyungsang KAMYOUNG, and Daegu city hall(BUA), and JINYOUNG.
2. The layout of virtual placement is shown in the in the text. Even though it had been newly constructed due to three times of fire, the fundamental scheme of space is found out not to have been changed since mid-eighteen century at the latest.
3. Followings are the result of analyzing the space of KAMYOUNG, after dividing its space into entry area, main business area and police·military business area in the aspect of business.
First, entry area consists of 2 door system with external door(UOISAMMUN) and internal door(NAESAMMUN).
Second, main business area consists of facilities for inspector, public officials, and low grade employee respectively. This space is divided into SUNHWADANG area and JINGCHONGKAK area, and the former consists of active business facilities, and the latter consists of passive business facilities focusing on the rest facilities.
Third, business support area consists of facilities for low grade employee and minor assistant respectively, which are placed to the left and right of POJONGMUN and KWANPUNGRU. Fourth, police·military business space is in middle(JUNGYOUNG) and forms separate areas to the east of SUNHWADANG.
Accordingly, it is certain that the space of Kyungsang KAMYOUNG had been placed in accordance with the nature of business per position.
소장처 한국건축역사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조선후기 선자연 치목기법에 관한 연구
김왕직(Kim Wang-Ji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5 (201005)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석탑 기단부 적심구성방법에 대한 특성 고찰
정해두 ; 장석하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6 n.5(통권 54호) (200710)
조선후기 감영시설의 배치구성에 관한 연구
최영철 ; 박언곤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v.10 n.4 (199403)
대구 경상감영의 정비와 현실화에 관한 연구
이진희(Lee, Jin-Hi)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9 n.10 (201310)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논문] 백제계 및 신라계 가구식 기단과 계단의 시기별 변화특성
남창근 ; 김태영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1 n.1(통권 80호) (201202)
전통 목구조 살림집의 회첨부 결구방식에 관한 연구
박새미 ; 장헌덕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211)
숭례문과 흥인지문의 구조체계 비교 연구
이왕기(Lee Wang-Kee) ; 김상조(Kim Sang-J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
조선초 객사 건축에 관한 연구
이연노(Lee Yeon-Ro) ; 주남철(Joo Nam-Chull)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12 (20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