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安東 臨淸閣의 文字形態에 나타난 意味와 宅法에 관한 硏究 / A Study on the Meaning of Letter-Shaped House Plan and the Housing Principles of the Imchonggak in Andong
저자명 장백기 ; 조성기
발행사 한국건축역사학회
수록사항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0 n.3(2001-09)
페이지 시작페이지(25) 총페이지(19)
ISSN 15981142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안동 ; 임청각 ; 문자형 주택 ; 조선시대
요약1 조선시대의 전통주택 가운데 文字形 주택으로 불리우는 집들이 있다. 문자형 주택이란 주택의 평면 형태가 문자의 모양을 나타낸 것을 말한다. 예컨대 用자형이라 불리는 安東의 臨淸閣이나, 巳자형이라 하는 臨河의 내앞(川前) 宗家, 그리고 良洞의 香壇이 대표적인 문자형 집의 예에 속한다. 이 집들은 조선시대 巨儒의 종가로서, 吉地로 알려진 明堂에 자리한 주택이며, 가문의 번창을 이루는데 일조 했다는 풍수지리적 해석 또한 관심을 끈다.
이 집들은 규모가 일반 주택과 다르고 뛰어나 보이기 때문에 주택 설계에 있어서도 특별함이 예상된다.
전통주택의 배치에는 일반적으로 사랑채가 안채의 앞쪽에 있는 것이 정통적이다. 그러나 임청각, 내앞 종가, 향단 등의 사랑채는 안채의 앞쪽에 위치하지 않고, 안채의 옆에 있거나 안채의 좌 혹은 우로 등을 대고 있다. 또한 間의 배치에 있어서도 일반적인 안채의 배치 순서를 탈피하여 예사롭지가 않다. 택법을 통하여 이해하려 하여도 택법의 기본원리인 동서사택법과 일치하지 않는 요소가 나타난다. 그러므로 문자형 주택은 평면형태에서부터 내부의 배치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점에서 규범을 벗어나며, 이해되지 않는 요소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조선시대의 문자형 주택 가운데에서도 임청각은 초기에 속하며, 규모가 장대하고 품위가 있다. 임청각은 조선시대의 대표적 살림집이라 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이다. 그러나 전체적인 건물 배치는 어디에서도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특별한 모습을 지니고 있다.
(연구의 배경 중에서)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letter-shaped house plan of the Imchongak in Andong and to Analyze its housing principles.
The letter-shaped house plan of the Imchongak lays its root in the traditional Eastern thoughts,
showing feature of Taoism. The Imchongak applied the principles of a good land and a good house, which are originated from the Yonyang theory, Five elements theory, Poongsochiri, housing principles and letter shapes of good fortune.
The letter shape of the Imchongak is 用(as below), and 日, 月, and 明 are contained in it. The lette 明 means brightening the mind and life of human being by himself. The letter 用 is shaped to express the idea of Cheayong Theory of Confucianism, which refer to everlasting interaction of all thing in the universe.
In applying the housing principles, Potaebob was used for the orientation of the house. Samhabbob, Jungeomjungyangbob and Dongsusataecbob were utilized to locate the gate. In addition, Dongsusataecbob was used for the positioning of rooms in most cases.
The Imchongak succeeded traditional Eastern thoughts and it realized the concept and philosophical idea of Confucianism as a house.
What is importan in the house plan of the Imchongak is that it repesents the ideal of Confucians in Chosun Dyansty that the man, house, nature, and universe are one. It also advocates ideology of Confucianism which emphasizes that a human life can be completed when man live together with the nature and harmonize themselves with it.
소장처 한국건축역사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안동 임청각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오지현 ; 김진균 -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 : v.20 n.2 (200010)
[한국고건축] 안동 임청각 정전 및 군자정
장순용 - 월간 건축문화 : No.41 (198410)
전통 목구조 살림집의 회첨부 결구방식에 관한 연구
박새미 ; 장헌덕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211)
조선후기 선자연 치목기법에 관한 연구
김왕직(Kim Wang-Ji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5 (201005)
숭례문과 흥인지문의 구조체계 비교 연구
이왕기(Lee Wang-Kee) ; 김상조(Kim Sang-J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
朝鮮時代 重層木造建築의 轉角部 架構法의 형식과 구조적 특성
이은수(Lee Eun-Soo) ; 홍병화(Hong Byung-Hwa) ; 김성우(Kim Sung-W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12 (200912)
多包건축의 귀포 形式 變遷에 관한 硏究
류성룡(Ryoo Seong-Ly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6 (20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