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牙山 外岩마을의 住居變化에 관한 硏究 / 1988년 전통건조물보존지구 지정 이후 2001년까지 /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Oe-am Folk Village : From 1988 to 2001 (after Designated as a Traditional Preservation Area)
저자명 이왕기 ; 이강복 ; 최홍기
발행사 한국건축역사학회
수록사항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0 n.3(2001-09)
페이지 시작페이지(77) 총페이지(15)
ISSN 15981142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아산 ; 외암마을 ; 주거변화 ; 전통건조물보존지구
요약1 전통민속마을은 한국전통건축을 이해할 수 있는 교육의 장소이며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전통민속마을은 지역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어 그 지역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역사적, 학술적, 예술적, 기술적 가치가 풍부한 소중한 문화재 보고이다. 그럼에도 현재의 전통마을은 우리나라 일반농촌문제와 결합하면서 전통적인 요소가 많은 부분 훼손되어왔고 기존의 문제들이 새로운 유형의 문제들과 중첩되어 더욱 심화되고 있는 형편이다.
우리나라의 살림집은 지역적으로 서로 다른 차이를 보인다. 산맥과 하천을 경계로 동서로 나뉘며 기후조건에 따라 함경도와 평안도, 중부와 남부지방이 다르며 산간지역과 해안지역이 다른 형태를 보인다. 그 중 외암마을은 충청지역 반가(班家)의 모습을 잘 보여주는 마을이란 점에서 건축사적 가치를 찾을 수 있겠다.
외암마을은 1988년 국가지정 "전통건조물보존지구"로 지정된 이후 2001년 현재까지 10여년의 세월이 흘러왔고 그동안 마을내에는 관련법에 의해 지속적인 복원 또는 보수사업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주거환경에 대한 주민의 개선요구가 반영되지 않아 주거인에 의한 가옥의 변화는 불가피하게 이루어져 왔고 이는 또 다른 변형을 가져와 전통마을의 가치를 훼손하는 결과가 되었다.
본 연구는 1988년 "전통건조물보존지구"로 지정된 당시의 관련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2001년 현재의 상황과 비교하여 지난 10여년 간의 주거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즉 외암마을의 10여년간의 변화현황과 주거변화의 요소를 고찰해보고 그 변화원인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의 목적)
요약2 The study is the analysis on Oe-am village which is designated as a folk-preservation village in 1988 and is included in the fact of the dwelling change through Spot-Survey and Case-Investigation in the last decade from now(2001). The result shows the main change on the stand-up dining room installation, the place with the boiler and bathroom installation, the additional expansion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small twice or third space, the using change, the prototype restoration.
The reason of this change is shown the following.
1. There is the dual structure that the villager repairs that because the repairing operation is biased the prototype restoration since the government construction.
2. The internal change is come from more at thatched house than at tiled house and the order of the main element's change is Kitchen (35%), main room (30%), living room (24%) and other rest room (11%).
3. The change of the dining room in the internal composition material is the strongest and the change is included in the using change, the installation of the new sub-division in the spot and the expansion of the outside if necessary.
The reason of the main change is life-style's. Therefore we can know the change of the dwelling structure and we are able to make a modern-life. Also, If the restoration or repair is necessary, the change element on that must be considered.
소장처 한국건축역사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원형적 공간 요소로 본 한국주택 평면형식의 통시적 고찰
전봉희(Jeon Bong-Hee) ; 권용찬(Kwon Yong-Cha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7 (200807)
외암마을의 공간구조에 따른 수공간 이용 특성 연구
정동섭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1 n.2(통권 제39호) (201006)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특별기고] 아산군 외암리마을 조사
이응묵 - 월간 건축문화 : No.56 (198601)
한국전통마을 공간구성의 시설배치특징에 관한 연구
양승정(Yang Seung-Jung) ; 김용승(Kim Yong-Seung) ; 박용환(Park Yong-Hwa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4 (200604)
[자료] 한옥의 설계와 시공기법
김도경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6(통권 61호) (200812)
한국전통건축 생태요소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박성희(Park Sung-Hee) ; 정무웅(Jung Moo-Wo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9 (200609)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