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朝鮮後期 忠淸道 全義縣 官衙建築의 配置構成에 관한 硏究 / Site Layout of ChungChong-Do Chonui-hyon Government Office in the Late Choson Dynasty
저자명 김기덕 ; 이재헌
발행사 한국건축역사학회
수록사항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0 n.4(2001-12)
페이지 시작페이지(7) 총페이지(15)
ISSN 15981142
주제분류 역사
요약1 본 연구는 全義縣 관아의 전체적인 모습을 파악하기 위해 朝鮮時代에 편찬된 [朝鮮後期 地方地圖](1872年), [韓國近代道誌], [忠淸道邑誌] 51冊(英祖∼憲宗代) 및 [湖西邑誌] 17冊(1871年)· [[湖西]邑誌] 7冊(1895年), [忠淸左右道都會衙舍細地圖] 등을 주된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연구의 방법은 朝鮮時代 忠淸道 地方의 全義縣에 관한 文獻을 수집·조사하고, 자료를 근거로 관아시설에 대한 配置平面을 추정·圖式化 하였다. 또한 地方官衙가 위치하는 邑治의 空間構造를 살펴보고, 地圖을 중심으로 각각의 시설에 대한 기능, 배치 등 상호관련성을 분석하여 朝鮮後期 官衙建築의 配置形式을 찾고자한다.
요약2 This study is to analyze site layout traditional government office building focused on Chonui-hyon(全義縣) in Chungchong province with Chungchong-do regional maps(忠淸道地方地圖) and Eupjis(邑誌, topography) being compil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 conclusion of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Chonui-hyon(全義縣) in Chosun dynasty is gone with a planning principle of the capital city(Han-Seong, 漢城) with disposing Sa-Ji-Dan(社稷壇) and Gaek-Sa(客舍), which are placed to the left and right of Eupchi(邑治), and it is followed in the wake of the spatial structure of Chosun dynasty palace with disposing Dong-Heon(東軒) in front, Nae-A(內衙) at the back of it, or from side to side, also by the Dong-Heon of the center, with organizing each facility around it.
2. Dong-Heon and Gaek-Sa of Chonui-hyon is passed through three step gate, Mun-Ru(門樓), Woi-Sammun(外三門), Nae-Sammun(內三門), from Hong-Salmun(紅門), and are shown hierarchy by having been placed at the end of approach axis.
3. Dong-Heon can be disposed by Feng-Shui(風水) which have influence on the southeast direction with Jin-San(鎭山) and An-Dae(案對), on the other hand, Gaek-Sa can be disposed by symbolic of the authority of a king.
4. Site layout by function of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is divided into four territory, Dong-Heon, Gaek-Sa, Nae-A, practical business territory, and every territory is organized by official institution on a social position to radiation, by the compositive axis to be made Woi-Sammun·Nae-Sammun·Dong-Heon·Nae-A
5. Approach process of Chnui-hyon government office is three door system similar to Kam-Young(監營) in a different way two door system in most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also approach axis is formed by bending.
소장처 한국건축역사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논문] 조선후기 지방관아건축의 배치구성에 관한 연구
김기덕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3 n.1 (200403)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조선시대 지방 읍치의 조영규범에 관한 연구
김기덕(Kim. Ki-Deo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5 (200405)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논문] 백제계 및 신라계 가구식 기단과 계단의 시기별 변화특성
남창근 ; 김태영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1 n.1(통권 80호) (201202)
傳統 重層木造建築物의 構造解析에 관한 硏究
남병선(Nam Byung-Sun) ; 신웅주(Shin Woong-Ju) ; 박강철(Park Kang-Chul)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5 (201005)
고려시대 목조건축 결구기법에 관한 연구
황세옥 ; 김봉건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911)
조선초 객사 건축에 관한 연구
이연노(Lee Yeon-Ro) ; 주남철(Joo Nam-Chull)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12 (200412)
조선후기 충청도 지방 읍치의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김기덕 ; 이재헌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2 n.1 (200303)
[특집] 전통목조건축의 구조해석
김봉건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36 n.4 (199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