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조선왕실 원당사찰건축의 구성형식 / On the Architectural Types of the Royal Buddhist Temples in Chosun Dynasty
저자명 김봉열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v.12 n.7 (1996-07)
페이지 시작페이지(97) 총페이지(10)
ISSN 12251674
주제분류 역사
요약1 원당사찰은 왕족의 명복이나 현세를 축원하기 위해 건립되었으며, 불교탄압기인 조선조에서 유일하게 보호받을 수 있는 사찰건축이었다. 원당의 건축형식들은 크게 능침수호사찰, 지방 위축원당, 수도권 위축원당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능침수호사찰은 조선초기에 국가적 사업으로 활발하게 경영되었고, 기하학적 대칭적 구성형식을 가졌다. 중문 주각 행랑이 발달하여 외부에 대해 패쇄적인 공간을 형성했다. 지방 위축원당은 `대방채'라는 독특한 건물형식을 중심으로 주불전을 부가하는 형식이 고착되었다. 외부에 대해 개방적이며 기능들을 통합한 소규모 형식으로 나타났다.
요약2 In Chosun dynasty, 'Won-dang', which was founded to pray heavenly bliss or present happiness of the royal families, was the only temple type to be protected from the Confiucian rule. Their architectural types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 the first type is the guardian temple for a royal tomb, the second is the royal praying chapel in the provinces, the third is the praying temple in the Capital region.The guardian temples were composed of the enclosing elements like as gates, ambulatories, and two storied auditorium. They had a geometrical composition type. The second chapels had various types originated from the Confucian shrines which were composed of walls and three-bays gates. Their clusters were newly inserted between the existing fabrics of a traditional temple.The last type had the unique building so called 'daebang' which means a complex hall of religious and living functions. Their temples were opened to ordinary people as well as royal families. Without a full understanding of the rational structure and the transparent space of the Gothic architecture regarded as one of the major roots at the start of Modern architectural Movenment, one can not completely appreciate the comcept of the modern architecture.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논문] 백제계 및 신라계 가구식 기단과 계단의 시기별 변화특성
남창근 ; 김태영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1 n.1(통권 80호) (201202)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논문] 記文으로 본 世祖연간 王室願刹의 전각평면과 가람배치
이경미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8 n.5(통권 66호) (200910)
고려말 조선초 다포건축 공포의 결구 특성에 관한 연구
이연노 ; 주남철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19 n.8 (200308)
조선시대 사찰건축에서 사동중정형배치의 형성과정
홍병화(Hong Byung-Hwa) ; 김성우(Kim Seong-W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3 (200903)
고려시대 목조건축 결구기법에 관한 연구
황세옥 ; 김봉건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911)
[논문] 중국 唐·宋 목조건축의 하앙 결구기법 변천 연구
장헌덕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0 n.6(통권 79호) (201112)
近世期 佛敎寺刹의 建築計劃과 構成要素 硏究
김봉렬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4 n.2 (199512)
숭례문과 흥인지문의 구조체계 비교 연구
이왕기(Lee Wang-Kee) ; 김상조(Kim Sang-J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