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한국 현대 사회의 주생활양식의 변화 / 수도권 3LDK 아파트 주호 평면 계획의 변천을 중심으로 / Changes in Residential Lifestyles in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in the Context of the Changes in the 3LDK Apartment Unit Plans in the Metropolitan
저자명 최재필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v.12 n.9 (1996-09)
페이지 시작페이지(3) 총페이지(12)
ISSN 12251674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요약1 1960년대에서 1990년대 중반까지의 수도권 지역 3LDK 아파트의 단위주호 평면계획상의 변화를 Space Syntax 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며, 이 분석결과로 그간의 한국 현대사회의 주생활양식의 변화를 유추해 보았으며, 다음과 같은 사항이 그 결과로 나타났다. (1)편복도형은 1990년대 들어 더 이상 쓰여지지 않으며 이는 한국인들의 이웃과의 사회적 교류보다는 이웃간의 프라이버시를 더욱 중히 여기고 있음을 의미한다:(2)연간 단위주호 개발회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최초에 4LDK용으로 개발된 평면이 이제는 3LDK 평면에 그대로 적용되고 있어 한국인들이 공간의 양과 아울러 질에 대한 인식도 바뀌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부엌/식당의 위치가 점차 바뀌어 이제는 여자의 사회적 지위와 역할이 남자의 그것과 근사해 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침실의 위치 변화 양상을 살펴보면 침실은 아파트 도입초기에는 서구식 주택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으나 점차 한국 전래의 방의 개념인 취침실과 다목적실로서의 기능을 되찾아 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2 As a sequel to the previous study which dealt with the 4LDK apartments, changes found in the unit floor plans of the 3LDK apartments built in Seoul Metropolitan area from 1960s to 1990s are analyzed in the context of Space Syntax model ; and changes in the residential lifestyle in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are traced from such analyses.The results indicate the following : corridor-type apartment building layout is no longer used in the 1990s and this suggests that now the Koreans seek privacy from neighboring units instead of social interaction with them ; the number of new prototype for 3LDK apartment units developed per each year is increasing, and the space layout patterns originally developed for 4LDK units are now fully adapted to 3LDK units, both of which suggest that the Koreans began to consider not only the quantity of their residential space but also the quality; layout changes in the kitchen / dining area indicate that the traditional role and relative position of women have changed to being more or less equal with those of men ; and finally, layout changes in the bedrooms demonstrate that the Western concept of bedroom was initially set into the Korean apartments, but as time goes on, the traditional concept of bedroom which embraces both private sleeping quarter and public familial living quarter has taken in.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공간구문론을 사용한 국내 아파트 단위주호 평면의 시계열적 분석
최재필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v.12 n.7 (199607)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국내 아파트 단위주호 평면의 공간 분석
최재필(Choi Jae-Pil) ; 조형규(Cho Hyeong-Kyu) ; 박인수(Park In-Soo) ; 박영섭(Park Young-Sup)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6 (200406)
1930년대 경성부 도시형 한옥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평면계획의 특성
박철진 ; 전봉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18 n.7 (200207)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권영상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2 (2009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원형적 공간 요소로 본 한국주택 평면형식의 통시적 고찰
전봉희(Jeon Bong-Hee) ; 권용찬(Kwon Yong-Cha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7 (200807)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의 시기별 접근성 변화 분석
최재필 ; 변나향 ; 김민석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21 n.4 (201008)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