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출목익공 기원과 변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Origin and Variation of Chul-mok Ik-gong
저자명 유성룡 ; 주남철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v.13 n.4 (1997-04)
페이지 시작페이지(111) 총페이지(12)
ISSN 12251674
주제분류 기타
요약1 한국전통건축에서 공포 양식은 견해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는데, 특히 기둥 위에만 공포가 배치되는 경우, 이는 주심포 또는 출목익공으로 분류된다. 본 논문은 이 점에 착안하였고, 시대에 따른 소로의 형태와 배치 변화에 주안점을 두었다. 소로는 공포 구성 요소일 뿐만 아니라, 공표의 결구 방법을 파악할 수 있는 단서로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그 중 보방향 부재와 도리 방향 부재를 맞춤하는데 있어, 네갈소로는 필수적인 것이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네갈소로 기능은 약화되었고, 공포 최상단에 놓이는 네갈소로부터 사라지게 되었다. 네갈소로의 소멸은 공포 결구방식의 변화를 의미하는데, 상하부재가 간격없이 맞닿게 된 결과였다. 먼저 보방향부재들이 맞닿게 되었을때는 양옆갈 네갈소로가, 이후 도리방향부재들 역시 같은 변화를 보이게 되면서 알통보강 네갈소로가 사용되거나 네갈소로가 사라지게 되었다. 출목수는 1출목에서 2출목으로 변화하였다. 출목익공 건물은 단계에 따라 세 가지로 분류되었다. 결론적으로 주심포에서 출목익공으로의 변화는 공포 결구방식 차이로 판단되었다.
요약2 Sometimes, the classification of Kong-po style of Korean traditional building differs in opinion. Especially, if a Kong-po of a building is set only on the capital, its style can be classified into two different groups(Chu-sim-po or Chul-mok Ik-gong)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view. The core of this paper focused on the heart of this trouble. Especially, I am interested in the variation of form and disposition of So-ro, because it is not only a component of Kong-po, but also a clue to grasping the composition method of Kong-po. Particularly, Ne-gal So-ro is more important than others, becuse it is indispensible in linking the elements in the direction of beam with the elements in the direction of purlin. As times go by, this original function of Ne-gal So-ro was weakened. And this nominal Ne-gal So-ro was disappeared from the highest. This disappearance of Ne-gal So-ro can be interpreted as some change in composing the Kong-po. That is, the function of So-ro(delivering upper load to lower part)was weakened, because the upper and the lower element of the So-ro were bonded together. The change first occurred from the elements in the direction of beam, and then transferred to the elements in the direction of purlin.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Chul-mok increased from one to two. In conclusion, the transition from Chu-sim-po to Chul-mok Ik-gong style was caused by the difference of composing method of Kong-po. And the Chul-mok Ik-gong building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y the transitional step.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조선후기 선자연 치목기법에 관한 연구
김왕직(Kim Wang-Ji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5 (201005)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朝鮮時代 重層木造建築의 轉角部 架構法의 형식과 구조적 특성
이은수(Lee Eun-Soo) ; 홍병화(Hong Byung-Hwa) ; 김성우(Kim Sung-W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12 (200912)
전통 목구조 살림집의 회첨부 결구방식에 관한 연구
박새미 ; 장헌덕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211)
안초공의 발생과 변천에 관한 연구
이혜린 ; 황종국 - 대한건축학회 춘계 우수졸업논문전 수상논문 개요집 : 제6회 (201004)
多包건축의 귀포 形式 變遷에 관한 硏究
류성룡(Ryoo Seong-Ly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6 (200606)
[논문] 백제계 및 신라계 가구식 기단과 계단의 시기별 변화특성
남창근 ; 김태영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1 n.1(통권 80호) (201202)
숭례문과 흥인지문의 구조체계 비교 연구
이왕기(Lee Wang-Kee) ; 김상조(Kim Sang-J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
전통 목구조 팔작지붕 추녀부재의 구조적 보강 특성에 관한 연구
조철희(Cho Cheol-Hee) ; 신용석(Shin Yong-Seok) ; 조윤희(Cho Youn-Hee) ; 노성열(No Seong-Ryeol) ; 김정섭(Kim Jeong-Sup)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26 n.03 (20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