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안토니오 산테리아의 건축사상과 작품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rchitectural Thoughts and Work Characteristics of Antonio Sant`Elia
저자명 이용재 ; 김성국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v.13 n.4 (1997-04)
페이지 시작페이지(137) 총페이지(10)
ISSN 12251674
주제분류 이론
요약1 본 연구는 20세기 초 이탈리아의 미래주의 건축가인 안토니오 산텔리아(Antonio San'Elia)의 건축사상과 작품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근대건축기에서의 이탈리아 미래주의 건축의 위치, 역할,그리고 연구가 부족했던 산텔리아와 미래주의 작가들을 소개하는 것이 그 첫번째 목적이고, 현대 건축에서 거론되고 있는 그의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건축이 갖는 업적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전제를 위한 시도가 그 두 번째 목적이다. 20세기 초의 이탈리아는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과학문명의 획기적 변화가 초래되면서, 정신적 사고는 물론 생활방식까지도 급속히 변화하는 사회적 전환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환의 과정속에서 침체된 문화예술을 재창조하여 이탈리아를 부흥시키려는 의도에서 미래주의가 출현하는데, 이로서 새로운 시대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 전환의 주도적 역할은 건축가 안토니오 산텔리아가 새로운 시대를 위한 미래도시라는 이념을 건축적으로 전개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연구를 통해 산테리아의 건축사상을 기계기술의 상징적 이미지 표현, 낙관적 도시의 유토피아 전개, 그리고 전위적 개념의 실험성 구축이라는 특성으로 대별하였으며, 그러한 건축사상을 표현하고 있는 작품을 통해서 건축적 역동성, 재료적 근대성, 그리고 형태적 순수성을 작품특성으로 분석 정의하였다. 이와 더불어 산텔리아의 이념적, 조형적 특성을 이탈리아에서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나라의 예술과 건축, 도시분야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으며, 근대 이후 현대건축에서도 그 영향력을 찾아볼 수 있었다.
요약2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epochal change of advanced science had been brought under the influnce of Industrial Revolution in Italy, and the movement named Futurism had risen in the society where the way of life as well as that of thinking had been rapidly changing.Antonio Sant'Elia, a representative architect of Futurism, had proposed projects in the Future City. His projects in the Future City had arisen to make up the new period, for which all the past standards had been denied, new materials chosen, and the form which exalted the man's emotional aspects, such as a diagonal line or an oval, and the multi-leveled traffic network.However, the fact that A. Sant'Elia's works and Futurism became a turning point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architectural theory is due to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s and the spiritual manners rather than the formative or technical realization.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20세기 초 미래파 운동과 현대건축 태동 관계
신범식(Shin Buhm-Shi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7 n.4 (201104)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특집] 건축가의 사회적 역활과 책임
박성태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41 n.1 (199701)
미술관 전시공간에 사용되는 공간유형
백용운(Baek Young-W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
[특집] 친환경 건축물의 개념 및 계획 방법
윤종호 - 건축환경설비(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지) : v.1 n.2 (20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