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건축평면에서 공간의 시지각적 화상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ace Visualization of Architectural Plan 저자명 윤재신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14 n.5 (1998-05) 페이지 시작페이지(93) 총페이지(12) ISSN 12269093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요약1 건축 평면에서 공간이란 경계를 이루는 벽면에 의하여 하나의 개체로 여겨질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감싸여져서 그 외의 다른 영역과 분절이 일어나고 있을 때 그 빈 공간을 지칭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일반적 의미의 건축 공간을 평면에서 시각적으로 화상화하는 방법 을 제안하고 그 방법의 객관적 타당성을 예증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공간 형태와 분절이 객관적 보편성을 갖고 있을 때에만 이에 따른 공간 구조의 분석이 의미를 가질 수 있으며, 공간 구조와 연관된 설계 과정의 논의 또한 실질적 가치를 갖는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 는 건축설계 방법론의 기초 연구로서의 성격을 갖는다. 선행 연구로 아른하임(Arnheim)의 이면구조(hidden structure)와 베네딕트(Benedikt)의 아이 소비스트장(isovist field) 이론을 고찰하여 보았다. 건축 평면 내에서 벽선의 상호 작용 관계를 표현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포위평형이라는 개념을 도입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적절한 함수의 고안을 시도하였으며, 본 논문에서 소개되는 포위평형의 분석 도면 들은 수리 모델러인 MAPLE을 통하여 시뮬레이션한 결과이다. 고안된 포위평형의 함수가 실지로 보편적 시지각에 부합하는 결과를 도출하는 가를 예증하기 위하여서 평면에 적용하여 그 결과에 논하면서 포위평형의 특성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제 안된 공간의 시지각적 화상화의 방법이 건축 계획과 설계 분야에 어떻게 응용될 수 있는지 세 가지 사례 항목을 예시하고 이의 적용 방안에 관하여 간략히 논하였다. 요약2 In the process of plan making, one has to visualize the shape of architectural space through imaginary visual perception. This research aims to devise a methodology which illustrates space visualization in architectural plan. The concept of enclosing balance was introduced as a technique by which imaginary visual perception of architectural space is simulated. In the field of enclosing balance, the inner core of central basin can be robustly distinguished from outer periphery. This central core may be identified as a seed of perceived space. The field of enclosing balance can be used in architectural design teaching as a tool of visualizing the sensitive interaction between wall surfaces in architectural plan. The field of enclosing balance can also provide a solid basis on which a computational approach to identifying space primitives in architectural plan can be successfully constructed. A robust technique of identifying space primitives in architectural plan can be incorporated into computer aided architectural design a useful tool of facilitating architectural plan making.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건축개념으로서 기능의 의미에 관한 연구 서현(Seo 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6 (200906) 그리드체계의 변형을 통한 형태생성프로세스 연구 한상길 ; 이공희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22호 (200806)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건축대전 작품분석을 통해 본 건축형태 구성기법에 관한 연구 구본덕 ; 유희준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v.4 n.2 (198804) 투상도법을 이용한 건축디자인의 형태생성에 관한 연구 박현수(Park Hyeon-Soo) ; 심은주(Shim Eun-Ju)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6 (200406)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루이스 칸의 디자인 개념과 형태 요소에 따른 평면구성 스키마에 관한 연구 송석현(Song Seok-Hyun) ; 차명열(Cha Myung-Yeol) ; 김원갑(Kim Won-Gaff)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3 (200403) 건축 평면에서 공간 분석 이론의 단위 공간 분절 방식에 대한 비교 연구 박순매(Piao, Shun-Mei) ; 김마리(Kim, Ma-Rie) ; 윤재신(Yoon, Chae-Shi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4 No.03 (201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