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조선말기 서울 · 경기 일원의 사찰대방건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aehang Building in Temples of Seoul and Kyongki Province late in the Chosun Dynasty
저자명 주남철 ; 김성도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14 n.11 (1998-11)
페이지 시작페이지(229) 총페이지(12)
ISSN 12269093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대방 ; 염불당 ; 고종년간//Daebang ; Yeombuldang ; Kojong Era
요약1 조선말 서울·경기 일원의 여러 사찰에서는 대방이 주불견 전면의 루 위치 에 건립되었다. 큰 방과 樓, 僧房 및 부엌 등으로 구성되는 복합건물인 大 房은 대웅전 앞 마당을 둘러싸서 중심영역을 구성한 건물로서, 그 중요성 에 비추어 지금까지 그 형성배경, 구체적 성격 등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진행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本 건물이 지어지던 시기의 불교계 현황, 이에 대하여 당시 쓰이던 용어, 그리고 현재 대방의 분석 등 을 병행하여 그 형성배경과 건축물의 정의 및 이것이 지닌 여러 특성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현존하는 대방은 고종 이후의 것만 남아있으므로 고종년간에 지어진 것만 을 대상으로 하여 9동을 분석하였다. 연혁이 확실한 9동의 건물중 흥천사, 화계사, 보광사, 흥국사의 4동은 실륵조사보고서의 도면을 참조하였고, 나 머지 용궁사, 경국사, 운수암, 미타사 및 백련사의 5棟은 필자가 실측하였 다. 그런데 본 건물은 최근에 와서 사찰의 필요에 의한 개수로 변형이 이 루어진 경우가 많아, 실측조사보고서에 수록된 도면 인용 및 필자의 실측 도면 작성에 있어서는 이전 모습을 기억하는 승려와의 면담 및 흔적 등을 통해 가능한 변형 이전의 상태를 고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요약2 The Daebang was constructed in the site of the Ru(two-storied in of the main sanctum in Buddhist temples of Seoul and Kyongki province late in the Chosun Dynasty This complex building, consisted of one large room, to, monks'small rooms and kitchen, w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forming central domain along with the main building by surrounding the main court. But in spite of its importance, the formative background was not studied by now as well as its definite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how it was formed and its properties, and for these the then terms related with it and the circumstances of Buddhist society in those days were anal),zed, and the existing Daebang in temples of Seoul and Kyongki province which was constructed in that period was made an object of study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the Daebang, the building for yeombul(i.e., pray to Buddha) was evolved from the Ru under the necessity of space for yeombul and reception by the yeombul-prevalent and reception-valued social background. Also a kunbang(i.e. a large room) for yeombul and a side ru(or both side rues) for a reception and rest were the main elements constituting the Daebang and, for this reason, it was called rubang(ru+bang) sometimes.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조선후기 선자연 치목기법에 관한 연구
김왕직(Kim Wang-Ji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5 (201005)
석탑 기단부 적심구성방법에 대한 특성 고찰
정해두 ; 장석하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6 n.5(통권 54호) (200710)
조선왕릉 8간(間) 정자각(丁字閣) 고찰
김왕직 -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805)
[논문] 백제계 및 신라계 가구식 기단과 계단의 시기별 변화특성
남창근 ; 김태영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1 n.1(통권 80호) (201202)
多包건축의 귀포 形式 變遷에 관한 硏究
류성룡(Ryoo Seong-Ly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6 (200606)
안초공의 발생과 변천에 관한 연구
이혜린 ; 황종국 - 대한건축학회 춘계 우수졸업논문전 수상논문 개요집 : 제6회 (201004)
숭례문과 흥인지문의 구조체계 비교 연구
이왕기(Lee Wang-Kee) ; 김상조(Kim Sang-J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
전통 목구조 살림집의 회첨부 결구방식에 관한 연구
박새미 ; 장헌덕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