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광복이후 「도시형 표준주택」의 평면 특성과 그 영향 / The Characteristics and the Influences of 「Standard Urban Housing」 in Korea between the 1950's and the early 1980's
저자명 유재우 ; 조성기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17 n.12 (2001-12)
페이지 시작페이지(77) 총페이지(11)
ISSN 12269093
주제분류 역사 / 도시
주제어 도시형 주택 ; 근대화 ; 도시형 표준주택 ; 도시//Urban Housing ; Modernization ; Standard Urban Housing ; Popular Urban Housing
요약1 광복이라는 역사적 전환시점이후 해외 동포가 대거 귀향하였고 뒤이은 6?25동란 시에 남아 있었던 주택 마저 파괴되어 주택 혼란 상태가 가중되었다. 정부에서는 주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50년대 이후 도시형 주택 우리나라에서 도시형 주택이란 근대적인 상황이후 도시화가 진행되며 택지개발지역이나 신시가지 지역을 중심으로 과거의 전통적인 주택의 질서에서 벗어나 도시적 상황에 적응된 일반적인 주택유형을 의미한다. 도시형 주택은 1941년 이후 관에서 ‘표준형’이라는 개념을 적용해 홑집형태와 다른 형태로 제안한 「도시형 표준주택」과 이러한 영향을 받아 민간인들이 개별적으로 조정해 나간 도시형 주택으로 구분할 수 있다. 후자를 ‘표준형’이라는 개념과 구분하기 위해서 ‘일반적’이라는 의미로 본 연구에서는 「도시형 일반주택」으로 대별해서 진행하기로 하였다. 후자의 주택형태로서 오히려 관영주택에 앞서 1920년대부터 자생적으로 발생한 ‘도시형 한옥’도 도시적 환경에 적응이라는 측면에서 포함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1960년대 이후 도시의 서민주택에서 신축되는 일련의 새로운 집중식 평면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학계에서 공인된 용어가 아니므로 「」표기를 해둔다.을 제안하고 보급을 추진하게 되었다. 이때의 공영주택은 건축재료의 규격화와 표준화를 통해 주택이 대량생산, 공급될 수 있는 ‘표준형’ 개념이 적용된 장방형의 형태를 갖고 있었다. 이러한 형식의 주택을 「도시형 표준주택」이라고 볼 수 있는데, 1960년대 이후 적극적으로 보급한 결과 경제적 여력을 회복한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급속하게 파급되기 시작하였다. 그후 농촌형에 가까웠던 전통적인 홑집 형태의 주택이 변모되기 시작하였고 현재에는 전통주택과는 달리 보이는 도시형 주택이 일반화되어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우리나라의 도시지역에서의 일반주택이 근대적 상황에서 ‘도시형 주택’으로 성립되는 과정과 그 평면의 구성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정부에서 추진한 「도시형 표준주택」에서의 특성과 이런 영향을 받아 나타난 1960년대 이후의 「도시형 일반주택」간의 평면구조 상호간의 특성을 비교 분석해서, 우리나라 주택의 근대적 전환기의 도시형 주택이 갖는 동질적인 구조와 변화과정을 전체적으로 이어주는 작업이 본 연구의 목적이자 의의라 할 수 있다.
요약2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traditional housing plan and its meaning in order to reveal how the housing plan has been transformed under the modern urban environment.
From the analysis of typical modern urban housing plans, some meaning has been found as follow: First, the 「Standard Urban Housing」 was formed by conjoining the orders of space composition and modern elements of the traditional housing plan as the structures in the front and rear rows. Second, the 「Popular Housing Plan」that was appeared since the 1960's, was developed as a complex structure by linear juxtaposition of unit blocks at both sides of a living space along with applying the previously-developed housing plan method. Thus, the Korean urban housing plan has been newly developed as the structure of the traditional order and modern desires.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1930년대 경성부 도시형 한옥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평면계획의 특성
박철진 ; 전봉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18 n.7 (200207)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광복전후 우리나라 단독주택의 변화특성 연구
유재우(Yoo Jae-W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10 (200410)
원형적 공간 요소로 본 한국주택 평면형식의 통시적 고찰
전봉희(Jeon Bong-Hee) ; 권용찬(Kwon Yong-Cha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7 (200807)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한국 도시 단독주택의 변천에 관한 연구
임창복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v.4 n.2 (198804)
조선시대 주택 꺾음부의 유형에 관한 연구
김정현(Kim Jeong-Hyun) ; 김하나(Kim Ha-Na) ; 전봉희(Jeon Bong-He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6 (200906)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