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공개공지의 설치기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stitutional Criterion for Gong-Gae-Gong-Ji
저자명 김주석 ; 최장순 ; 최찬환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18 n.5 (2002-05)
페이지 시작페이지(39) 총페이지(8)
ISSN 12269093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법규(제도,정책)
주제어 공개공지 ; 보행가로 ; 설치기준//Gong-Gae-Gong-Ji ; Public-Pedestrian Road ; Preparation Criterion
요약1 공개공지는 도시 내 공공을 위해 제공되는 공개공간의 하나이며, 그 확보를 위한 공유지의 부족으로 사유지에 조성된 공공공간이다. 따라서, 도시 일반 보행자들이 상시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는 공공공간으로서 활성화된 공개공지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일반인이 손쉽게 접근·이용할 수 있는 쾌적한 공간의 조성을 유도하고 그렇지 못한 것에 대한 제어의 필요성이 있다.
현재, 우리의 공개공지관련 제도는 공개공지의 폭과 면적, 공개공지 내 설치되는 조경 및 편의시설물에 대해 규정함으로서 해당 공간의 쾌적성 및 이용상의 편이성에 대한 평가기준만을 제공하고, 인지 및 접근성 관련 평가기준은 '일반인이 도로에서 접근 및 이용이 편리한 장소'로 선언적으로 규정할 뿐, 건축심의위원들의 주관적 가치판단에 위임되고 있어 형식적인 사례는 물론, 계획시의 객관적 기준조차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 결과에서 재확인된 것과 마찬가지로, 공공공간의 활발한 이용을 위해선 무엇보다도 해당 공간이 일반 보행자에 의해 손쉽게 인지되고 접근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되도록 제어될 필요가 있다. 특히 '보행 중 휴식' 등과 같이 '다음 활동을 위한 준비 및 휴식장소'로 비교적 이용시간이 짧은 공개공지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할 수 있다. 따라서 공개공지의 이용 대상인 일반 보행자의 인지 및 접근성을 확보하고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이 요구된다.
이러한 방안의 하나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설치된 공개공지의 분석·평가를 바탕으로 공개공지와 공공보행가로의 접면길이와 공개공지의 최대깊이의 비 '2'를 기준으로 하는 공개공지의 평가기준을 제시한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icit and to analyse the meaning of Gong-Gae-Gong-Ji(the public open space offered in private lot) and to propose it's physical preparation criterion.
143 Gong-Gae-Gong-Ji examples applied to 89 Ju-Sang-Bok-Hab building(the residential building, a business or commercial quarter included) sites which obtained from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ere used for investigation.
The actual using conditions of Gong-Gae-Gong-Ji to confirm the relation between the public using rate and the affection of the distance from a public-pedestrian-road were investigat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he preparation of Gong-Gae-Gong-Ji must be controled with the rate of the length abutted on the pedestrian road opened to the public and the maximum depth away from pedestrian road in site planning.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논문] 공개공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장하리 ; 이인성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7 n.4(통권 제25호) (2006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도시 공공공간 확보 및 질적 향상을 위한 공개공지 제도 개선방안 연구
이상민 ; 김영현 - 연구보고서(기본) : 2012 n.06 (201210)
공공성 회복을 위한 공개공지 사례연구
김용(Kim, Yong) ; 김영지(Kim, Young-Jee) ; 오세규(Oh, Se-Gyu)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 Vol.20 n.01 (통권83호) (2018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공공성 차원에서 공공공지와 공개공지 행태유형별 특성 비교연구
김민주(Kim, Min-Joo) ; 양승우(Yang, Seung-Woo)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6 No.4(통권 제70호) (201508)
국내 공개공지 디자인 가이드라인 구축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이현선 ; 김용승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26호 (200906)
[논문] 공개공지 설치규모 기준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정평란 - 국토계획 : v.39 n.3(통권 135호) (200406)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이용자 행태분석을 통한 공개공지 배치계획 및 디자인에 대한 연구
이현선 ; 김용승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31호 (20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