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한국 각지의 짧은 재현기간에 대한 풍향별 기대풍속 / 풍향/풍속 결합 확률분포를 사용하여 / The Directional Wind Speeds for a Short Return Period in Korea : Evaluated by the Joint Probability Distribution of the Wind Direction and Speed
저자명 하영철 ; 김동우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v.18 n.6 (2002-06)
페이지 시작페이지(31) 총페이지(8)
ISSN 12269107
주제분류 구조
주제어 풍향 ; 일최대풍속 ; 빈도 ; 재현기대풍속 ; 확률 ; 거주성//Wind Direction ; Daily Maximum Wind Speed ; Frequency ; Wind Speed for Return Period ; Probability ; Habitability
요약1 최근, 초고층건축물이나 관광타워용의 탑상 구조물이 많이 건설되어 바람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한 거주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처럼 강풍시의 거주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장주기 수평진동에 대한 인간의 진동감각에 관한 연구와 함께 1년 정도의 짧은 기간에 대한 풍속의 재현기대값을 추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바람에 의한 구조물의 진동응답은 풍향에 매우 민감하고, 풍향에 따라 풍속특성이 달라지기 때문에 풍향별 강풍의 예측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대한건축학회의 「건축물 하중기준 및 해설」에서는 건축물의 구조안전성을 검토하기 위한 기본풍속을 전국의 지역별로 제시하고 있으나, 거주성을 검토할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짧은 재현기간의 풍속값은 규정하고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전국 32개 지역 기상관측소의 10년간 일최대풍속 발생 시의 풍향?풍속 기록을 사용하여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재현기간이 짧은 강풍의 풍향에 대한 전반적인 특성과 지역별 특성을 밝히고, 풍향 발생빈도와 풍속의 세기와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풍향/풍속 결합 확률분포에 의하여 짧은 재현기간에 대한 풍향별 기대풍속을 평가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풍향별 재현기대풍속은 건축물의 수평진동으로 발생하는 가속도에 대한 거주성을 평가할 때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요약2 The basic design wind speed, which is used for the wind resistant building design, is the value estimated for the return period of 100 year to extreme wind speeds. The probabilistic analysis of extreme wind speeds has been performed irrespective of wind direction. It was assumed then, that the design value of the wind speed may occur from any direction with the same probability. However, it is necessary for estimating habitability of wind-induced building vibration to use wind speeds of short return period and to consider directionality. This study deals with an analysis of directional wind speeds for short return period in Korea. The 32 meteorological stations having daily maximum wind speeds records from 1987~1996 years were selected for the directional analysis. We classified a daily maximum wind data from 1987 to 1996 by sixteen wind direction (N~NNW) and evaluated frequency of wind direction. It can be seen that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directional wind data is to be fitted Weibull distribution in Korea. Directional wind speeds for 1, 5, 10 year return period were compared to that wind speeds which is not considering it's directions. It can be seen that the value of directional wind speeds for each return period were estimated 50%~100% of non-directional wind speed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uld be used to estimate the habitability to wind-induced building vibration.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특집] 개정된 KBC2016 풍하중기준
하영철(Ha, Young-Cheol)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0 No.09 (201609)
강도설계용 풍하중 평가를 위한 재현기간과 기본풍속지도의 제안
하영철(Ha, Young-Cheol)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ol.34 No.02 (201802)
건축구조기준(KBC-2009) 기본풍속도의 개선
정선하(Jeong, Seon-Ha) ; 김병조(Kim, Byung-Jo) ; 하영철(Ha, Young-Cheol)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30 n.5 (201405)
[특집] KBC 2016의 지진하중
박홍근(Park, Hong-Gun) ; 이기학(Lee, Kihak) ; 김동관(Kim, Dong-Kwan)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0 No.09 (201609)
풍직각방향과 비틀림방향의 응답상관을 고려한 풍하중 조합
김원술(Kim, Wonsul) ; 김용철(Kim, Yong Chul)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ol.31 No.04 (201504)
초고층 구조 성능에 대한 설계기본풍속과 순간최대풍속의 상관관계 분석
정민기 ; 권민석 ; 김경희 ; 김재요 - 대한건축학회 춘계 우수졸업논문전 수상논문 개요집 : 제6회 (201004)
[특집] 풍하중기준(KDS 41 10 15: 2021 건축구조기준 설계하중)의 주요 개정 내용과 기대 효과
하영철 - 건축구조(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지) : Vol.28 No.2 (202103)
초고층건축 알루미늄커튼월 구조설계검토 프로세스와 매뉴얼 개발에 관한 연구
조예원(Cho, Ye-Won) ; 이민철(Lee, Min-Cheol) ; 옥종호(Ock, Jong-Ho)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 Vol.10 No.3 (200905)
변동풍력의 연직분포를 고려한 건축물의 풍하중 평가
류혜진(Ryu, Hye-Jin) ; 신동현(Shin, Dong-Hyeon) ; 하영철(Ha, Young-Cheol)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ol.35 No.07 (201907)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