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명 |
지하철 역사 내 공용공간의 공간구조 분석 연구 / 길찾기(Wayfinding)의 요소를 중심으로 / Analytic Study on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Public Space in Subway : With Focus to the Wayfinding Elements |
저자명 |
윤현정 ; 김영욱 |
발행사 |
대한건축학회 |
수록사항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18 n.9 (2002-09) |
페이지 |
시작페이지(187) 총페이지(8) |
ISSN |
12269093 |
주제분류 |
계획및설계 |
주제어 |
지하철 ; 스페이스신택스 ; 공간구조 ; 길찾기//Subway ; SpaceSyntax ; Spatial Configuration ; Wayfinding |
요약1 |
길찾기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을 보면, 길찾기의 요소중에 사인시스템 보다 공간구조가 더 중요한 요소임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공간구조자체에 대한 정량적 분석의 예가 거의 없으며 분석방법 또한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pace Syntax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길찾기가 어려운 장소로 선정된 지하철역을 대상으로 충무로 역(3호선과 4호선 환승역)과 동대문운동장(2,4,5호선 환승역) 역사 內 공용공간의 공간구조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Space Syntax 분석결과로 사례대상 두 역 모두 전체 통합도가 낮아, 각 노선별 그리고 환승 시에도 인지도나 접근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길찾기가 매우 어려우며, 공간구조보다는 전적으로 사인(sign)에 의존해야 함을 알 수 있는 결과이다. 둘째, 기존 사인체계를 따른 경로(환승띠)와 공간구조상의 보행최단경로를 분석한 결과 기존 사인체계에도 인지도 면에 있어서 동선시스템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밝힌 정량적인 자료들은 향후 지하철 역사내 공용공간의 시설물에 대한 배치계획에도 활용될 것이라 판단된다. 즉 통합도가 떨어지는 곳에 사인설치를 강화하고, 통합도가 높은 곳에 전체 안내도를 배치, 혹은 매장, 매표소의 위치결정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POE단계의 검증보다는 사업시행 전에 본 연구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공간구조체계의 명료화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해결이 요구된다. |
요약2 |
Many researches on the wayfinding have identified that spatial configuration is more important factor than any other wayfinding elements. However, there are little studies to have investigated spatial structure analytically. Therefore, we try to investigate spatial configuration in wayfinding of subway public space by using space syntax method. A field survey was conducted at two cases located in Seoul (Chungmuro interchange station of no.3 line and no.4 line, Dongdaemun Stadium interchange station of no.2,4,5lin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oth stations are lack of intelligibility, because they have poor integration of spatial configuration. It is expected that wayfinding in these stations is dependent heavily on sign system. Second, problems in existing sign systems give us some difficulty in wayfinding by unintelligible circulation system. In conclusion, thes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space syntax method can play an important role for evaluation of the spatial structure in subway public space by the analysis of spatial configuration. |
소장처 |
대한건축학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