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안동문화권 뜰집의 안채와 사랑채 영역의 경계구조 / The Boundary between An-chae and Sarang-Chae Space of 'Ttuljip' around Andong Cultural Area
저자명 김미나 ; 김화봉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18 n.11 (2002-11)
페이지 시작페이지(149) 총페이지(9)
ISSN 12269093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경계구조 ; 공간 ; 영역 ; 뜰집//boundary ; space ; territory ; Ttuljip(Ddeuljip)
요약1 한국 중상류주거는 안마당을 중심으로한 口자형 혹은 튼 口자형 주택들이 전국에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중정형 주택 중에서도 특히 안동문화권의 뜰집은 조선시대에 형성 발달한 것으로 파악되는 독특한 공간구성을 취하고 있다. 조선시대의 주거에서 인간관계의 특이성은 유교적인 주종관계와 남녀유별의 영향에 의해 형성되었는데 특히 남성과 여성의 분리의식은 주택 내 공간분리 문제로 이어졌으며, 여성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경계구조가 발달하였다.
안동문화권 뜰집의 남녀공간 영역의 경계구조를 살펴 본 결과, 뜰집에는 방어구조로 담장, 내외담, 내외벽, 내외문 등의 경계구조가 발달되었으며, 남성공간과 여성공간의 차단구조로는 벽장, 가림벽, 툇간 벽과 문이 발달하였다. 생활상의 연결구조로는 쪽마루와 전이공간을 통한 간접연결방법이 발달하였다.
요약2 This study aims to research in the type of boundary between man's and women's space in Korean traditional dwellings. The subject of study is ?-type houses. Especially, Ttuljip which spread around Kyung-bok area. The ?-type constituted a mainstream housing type for the middle and high class people of Chosun dynasty.
The ?-type can be found mainly in Andong cultual area. The size of the house is in proportion to the development scheme of the overall shape, from square to rectangular shape. and the main pavilion is composed of Sarang-Che, An-Che, Hangrang. The typical spatial relation between An-Che and Sarang-Che is ㄴ+ㄱ type although many variations can be found.
And by the aim of the separation and connection between man's and women's space, physical structures which have a meaning of boundary are built. For example, a fence, a wall closet, a extra wall and gate, a additional floor and so on.
In conclusion, the Ttuljip shows a essence of technique to control a boundary structure in Korean traditional dwellings.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조선시대 주택 꺾음부의 유형에 관한 연구
김정현(Kim Jeong-Hyun) ; 김하나(Kim Ha-Na) ; 전봉희(Jeon Bong-He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6 (200906)
[논문] 백제계 및 신라계 가구식 기단과 계단의 시기별 변화특성
남창근 ; 김태영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1 n.1(통권 80호) (201202)
[자료] 한옥의 설계와 시공기법
김도경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6(통권 61호) (200812)
안동문화권 ` 뜰집 ` 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화봉 ; 조성기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14 n.11 (199811)
안동문화권 ㅁ자형 뜰집의 시대적 평면특성
신치후(Shin Chi-Hoo) ; 김성우(Kim Sung-W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11 (201011)
조선후기 선자연 치목기법에 관한 연구
김왕직(Kim Wang-Ji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5 (2010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