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一柱門의 건축형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form of Il-ju-mun
저자명 정대열 ; 예명해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18 n.11 (2002-11)
페이지 시작페이지(159) 총페이지(11)
ISSN 12269093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일주문 ; 건축형식 ; 축부유형//Il-ju-mun ; Architectural form ; Frame structure type
요약1 본 연구는 일주문의 건축형식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경상도 지역의 사찰중 일주문이 조영되어진 1910년도 이전에 세워진 일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일주문을 옥개부, 가구부, 공포부, 기단부 등으로 나누어 부재형태, 결구법, 가구법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옥개부: 팔작지붕과 맞배지붕이 지배적이며, 겹처마 형식이 주를 이룬다.
2)가구부: 주기둥과 보방향주심창방을 지지하는 사재, 보조재, 주선등의 결구방법과 하중전달방식으로 Ⅰ,Ⅱ,Ⅲ,Ⅳ형의 4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Ⅰ,Ⅱ,Ⅲ,Ⅳ형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는 Ⅱ,Ⅲ,Ⅳ형을 혼합하여 사용한 형식이 많이 나타난다.
3)공포부: 공포의 배열은 일단배열과 이단배열로 나눌 수 있으며, 출목수는 3, 4출목이 대부분이고, 전후면 공포를 연결하는 통제공이 쓰여지는 유구가 있다. 제공은 쇠서형과 연봉이나 연화형이 조각된 것이 많다.
4)기단부: 초석은 자연석초석이 대부분이며, 기단은 자연석 기단이 대부분인걸로 판단되나 근래에 가공석기단으로 개수한 경우가 많다. 일주문은 통과상의 경로에 있기 때문에 기단이 없거나 한단 정도의 낮은 기단을 설치하여 보행에 지장이 없도록 설치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architectural form of Il-ju-mun. It deals with Il-ju-mun that has been built before 1910 in Gyeong-sang province. This study analyzes type of member, jointing method, frame structure method by dividing Il-ju-mun into four parts such as roof, bracket system, frame structure, podium.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1)Roof: The Pal-jak type of roof and the Mat-bae type of roof are dominant and double eaves mainly appears.
2)Frame structure: There are 4 forms in classifying frame structure depending on the jointing method of main-column, diagonal member, sub-column etc. and weight transmission method. The type made by mixing Ⅰ,Ⅱ,Ⅲ and Ⅳ is seen much more frequently than one made by using Ⅰ,Ⅱ,Ⅲ and Ⅳ separately.
3)Bracket system: The arrangement of bracket system can be divided into one-line-arrangement and two-line-arrangement. As far as Chul-mok-su concerned, 3 or 4 Chul-mok-su is predominent. Tong-je-gong has been used to connect front and back bracket system for some Il-ju-mun. When it comes Je-gong, Yon-hwa-soe-seo type is mainly seen in the exteranl shape and Gyo-du type is mainly seen in the internal shape.
4)Podium: Natural stone foundation is majority. It is judged that Il-ju-mun has no podium or natural ones, however, it has recently been converted into artificially processed podium in many cases. Il-ju-mun is located in the route of passing by, so it seems to be established without any podium or with one podium for people to walk easily.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조선후기 선자연 치목기법에 관한 연구
김왕직(Kim Wang-Ji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5 (201005)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논문] 백제계 및 신라계 가구식 기단과 계단의 시기별 변화특성
남창근 ; 김태영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1 n.1(통권 80호) (201202)
전통 목구조 팔작지붕 추녀부재의 구조적 보강 특성에 관한 연구
조철희(Cho Cheol-Hee) ; 신용석(Shin Yong-Seok) ; 조윤희(Cho Youn-Hee) ; 노성열(No Seong-Ryeol) ; 김정섭(Kim Jeong-Sup)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26 n.03 (201003)
朝鮮時代 重層木造建築의 轉角部 架構法의 형식과 구조적 특성
이은수(Lee Eun-Soo) ; 홍병화(Hong Byung-Hwa) ; 김성우(Kim Sung-W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12 (200912)
숭례문과 흥인지문의 구조체계 비교 연구
이왕기(Lee Wang-Kee) ; 김상조(Kim Sang-J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
석탑 기단부 적심구성방법에 대한 특성 고찰
정해두 ; 장석하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6 n.5(통권 54호) (200710)
근대기 목조 지붕트러스의 유형분류 및 특징에 관한 연구
박창범(Park Chang-Beom) ; 김미연(Kim Mi-Yeon) ; 김태영(Kim Tai-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
[논문] 귀고주방식의 조영전통과 의미
홍병화 ; 이은수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3(통권 70호) (20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