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봉정사 극락전의 평면과 가구 계획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of the plan and the structure of Geukrackjeon in Bongjeongsa
저자명 김도경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19 n.5 (2003-05)
페이지 시작페이지(165) 총페이지(10)
ISSN 12269093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봉정사 극락전 ; 평면 ; 가구 ; 건축계획 ; 용척//Geukrackjeon in the Temple of Bongjeong ; the floor plan ; the structure ; the architectural design ; the adopted measure
요약1 봉정사 극락전은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最古의 목조건축이라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또한 근래의 완전 해체보수와 실측조사를 통해 비교적 정확한 부재치수와 결구방법이 확인되었다. 다만 봉정사 극락전이 창건 후 여러 차례의 수리를 거쳤음은 창건 당시의 계획 특성을 살피는데 한계가 될 수 있으나, 목조건축의 특성상 봉정사 극락전은 수리를 거쳤음에도 창건시의 모습을 비교적 잘 갖추고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러한 점에서 봉정사 극락전의 평면과 가구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 계획과정을 추정해볼 수 있을 것이다.
요약2 This research attempts to analyze the design process that the floor plan and the structure in Bongjeongsa's Geukrackjeon. For this purpose, firstly, this research assumes the measure and the method that the material size in section was planed, and then, studies the characters of the plan and structure. As the results, the characters of the design process of plan and structure are as follows. ① The floor plan and the material's section size was designed by the relation of propotions. ② The floor plan and structure was designed in the very systematic relation concidering the length of the rafters and the eaves. ③ The level of the every doris was designed by the order as follows. Firstly, jongdori(the highest dori) was decided in the base of the slope of the roof, and then the others decided by the piling up the matreials with the equal section. ④ Bockwhaban(복화반) was used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the minute level.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자료] 한옥의 설계와 시공기법
김도경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6(통권 61호) (200812)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조선후기 선자연 치목기법에 관한 연구
김왕직(Kim Wang-Ji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5 (201005)
숭례문과 흥인지문의 구조체계 비교 연구
이왕기(Lee Wang-Kee) ; 김상조(Kim Sang-J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
[논문] 백제계 및 신라계 가구식 기단과 계단의 시기별 변화특성
남창근 ; 김태영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1 n.1(통권 80호) (201202)
多包건축의 귀포 形式 變遷에 관한 硏究
류성룡(Ryoo Seong-Ly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6 (200606)
朝鮮時代 重層木造建築의 轉角部 架構法의 형식과 구조적 특성
이은수(Lee Eun-Soo) ; 홍병화(Hong Byung-Hwa) ; 김성우(Kim Sung-W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12 (200912)
석탑 기단부 적심구성방법에 대한 특성 고찰
정해두 ; 장석하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6 n.5(통권 54호) (200710)
고려말 조선초 다포건축 공포의 결구 특성에 관한 연구
이연노 ; 주남철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19 n.8 (20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