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고려시대 대공(臺工)의 결구(結構) 방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Dae-Gong in Korea Dynasty period
저자명 류성룡 ; 주남철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19 n.6 (2003-06)
페이지 시작페이지(39) 총페이지(7)
ISSN 12269093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포대공 ; 첨차 ; 소로 ; 소슬재//Po-dae-gong ; Chum-cha ; So-ro ; So-seul-jae
요약1 한국목조건축에서 부재 명칭 중, 대공이란 용어는 1647년(인조25년) 창덕궁수리도감의궤 이후 大工으로 사용되다가 1776년 景慕宮營建에서부터 臺工이란 표기로 바뀌었다. 1800년 화성성역의궤 권수도설에는 대공이 그림으로 표현되고 있다.
한국전통목조건축에서 대공이란 용어는 다른 부재 명칭과는 달리 매우 구체적이고, 정의와 그 기능에 있어서도 이론의 여지가 적은 것으로 보인다.
대공의 정의와 기능은 명료하지만, 대공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다. 대공의 종류에는 동자대공, 접시대공, 포대공, 소슬대공 또는 인자대공, 판대공(앙련, 파련, 제형, 키대공 포함), 화반대공 등이 있다. 다양한 대공의 명칭은 다양한 시각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공의 명칭을 정하는데는 많은 혼란이 있다. 예를 들면 수덕사 대웅전 대공은 포대공도 되고, 소슬대공도 되고, 화반대공도 된다. 첨차와 살미가 결구되었다는 측면에서는 포대공이고, 맨 밑에 사용된 부재 형태를 중시하면 화반대공이며, 소슬합장이 사용된 것을 고려하면 소슬대공인 것이다. 대공을 구성하는 부재 중 어떤 것을 중요하게 보느냐에 따라 필요에 따라 명칭이 달라지게 되었다. 그리고 대공 명칭 중 포대공은 다른 명칭과 기준이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대공의 혼란스러운 명칭 문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대공을 시대적 흐름으로 파악하는 통시적 관점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본다. 한국전통 목조건축에 있어서 대공은 건물의 종류, 양식, 시기에 관계없이 반드시 사용되는 구성 요소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정한 기준으로 통시적 관점을 적용한다면, 대공의 변화과정 속에 일관된 혹은 방향성을 가진 흐름이 파악될 것이라 생각한다.
요약2 We know that Dae-gong has two major functions. One function is to transfer the weight of roof to the beam while the other is to play a role fix the highest purlin in order not to break away and move off. It is easy to mention the definition and function of Dae-gong, but it is hard to decide the sort of Dae-gong. Because the sort of Dae-gong is different according to one's viewpoint. That is variable sorts of Dae-gong makes easy to classify Dae-gong to into orders, but makes hard to look at Dae-gong coherently in the current of the tim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we set a new standard is not put emphasis on the shape of board, but on unchanging attribute of assembly. In this study, the new standard is construction method. Because Dae-gong is composed of several constituent elements. In conclusion, there is several basic principles 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Dae-gong in Korea Dynasty period buildings. ① There are always So-seul-jae in Dae-gong. ② Po-dae-gong is more than 3 layer, if Po-dae-gong should have chum-cha. ③ There are 2 types timber elements towerd Bo(beam) under So-seul-jae. ④ On the 1st layer of Dae-gong is placed only timber element towerd Bo(beam). ⑤ In the basis of Dae-gong of Korea Dynasty period, the Timber toward-Dori(purlin) and the Timber toward-Bo(beam) have the each shape of Receiving board(凹) and the Covering board(凸). Also these two boards are exactly adjusted with the shape crossed, facing one to one(1:1). These timbers are put together one after another. Between the upper-timber and the down-timber, the chink lies due to Ne-gal-So-ro.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조선후기 선자연 치목기법에 관한 연구
김왕직(Kim Wang-Ji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5 (201005)
朝鮮時代 重層木造建築의 轉角部 架構法의 형식과 구조적 특성
이은수(Lee Eun-Soo) ; 홍병화(Hong Byung-Hwa) ; 김성우(Kim Sung-W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12 (200912)
팔작지붕 추녀에 관한 목구조적 고찰
김병진 ; 김성우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710)
숭례문과 흥인지문의 구조체계 비교 연구
이왕기(Lee Wang-Kee) ; 김상조(Kim Sang-J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자료] 한옥의 설계와 시공기법
김도경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6(통권 61호) (200812)
안초공의 발생과 변천에 관한 연구
이혜린 ; 황종국 - 대한건축학회 춘계 우수졸업논문전 수상논문 개요집 : 제6회 (201004)
多包건축의 귀포 形式 變遷에 관한 硏究
류성룡(Ryoo Seong-Ly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6 (200606)
한국과 중국의 소슬대공 변화 과정에 관한 연구
류성룡(Ryoo Seong-Lyong) ; 주남철(Joo Nam-Chull)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19 n.11 (20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