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한옥 생활공간의 변화에 대한 해석 / 충청지역 중요민속자료 지정 한옥을 대상으로 / The Analysis of Spatial Change in the Traditional Korean House (Hanok), Using Space Syntax
저자명 이주옥 ; 한필원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19 n.8 (2003-08)
페이지 시작페이지(67) 총페이지(9)
ISSN 12269093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주제어 문화재 ; 전통주택 ; 한옥 ; 변화 ; 생활공간 ; 공간구문론//cultural property ; traditional Korean house ; hanok ; spatial change ; living space ; space syntax
요약1 본 연구는 현재 가족의 생활이 이루어지는 충청지역의 문화재지정 한옥을 대상으로 전통주거공간이 현대주거생활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20년간 변화된 현상들을 분석하고 변화의 의미를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통주택의 공간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공간들의 상대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연구자는 공간구문론의 가능성과 한계를 검토한 후 일정한 전제를 가지고 그것을 분석 방법으로 사용하였다. 분석의 범위는 주로 생활이 이루어지는 안채와 그 주변의 외부공간으로 한정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지난 20년 동안 대체적으로 사례가옥의 생활공간을 이루는 각 실들의 RRA가 증가하였음을 밝혔다. 특히 생활이 일어나는 공간들 중에서 안방의 RRA값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대청과 마루공간의 RRA 증가율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부엌의 RRA 증가율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요약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patial changes of traditional Korean houses in Chungcheong province that are designated as National Cultural Properties.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residents of these houses were forced to modify their dwelling spaces in order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traditional spaces and the current living pattern, though change was constrained by relevant regulation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Space Syntax effectively reveals the relative spatial depth of the spatial elements composing hanok. Thus, Space Syntax was adopted as an analytic method of the study to objectively measure the spatial changes of the seven case houses. In this study, the present spatial organization of each case is compared with that of 20 years ago to find out how the organization and use of space has changed over the past two decad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ean RRA of all spatial elements has increased in all cases over the 20 year period. Especially, the increase ratio of the mean RRA is exceeded by that of the RRA of both anbang and maru / daecheong, in most cases. On the other hand, the increase ratio of the RRA of kitchen is exceeded by that of the mean RRA in most cases. The RRA of kitchen was bigger than that of anbang in the past, which is reversed at the present.
The above findings suggest that the anbang has come to be a more private space, whereas the maru / daecheong have come to be more closed. On the other hand, the kitchen has become more accessible to/from the interior spaces.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원형적 공간 요소로 본 한국주택 평면형식의 통시적 고찰
전봉희(Jeon Bong-Hee) ; 권용찬(Kwon Yong-Cha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7 (200807)
[논문] 한옥 설계의 최근 경향 연구
이주옥 ; 한필원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1 n.1(통권 80호) (2012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현대 거주공간으로서 도시한옥의 가능성 제안에 관한 연구
허혜림 ; 임종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3 n.5(통권 46호) (200410)
[자료] 한옥의 설계와 시공기법
김도경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6(통권 61호) (200812)
생활한옥의 평면구성에 관한 연구
강만호 ; 이우원 ; 정훈 ; 주석중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20 n.3 (200906)
전주한옥마을 주거건축 평면의 특징에 관한 연구
남해경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21 n.4 (201008)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