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대학캠퍼스 입지유형과 주변지역의 토지이용분석에 따른 대학촌의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lanning Direction of University Village through Analysis of Locational Type of University Campuses and Land Uses in Jinju City
저자명 김영 ; 하창현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19 n.8 (2003-08)
페이지 시작페이지(113) 총페이지(9)
ISSN 12269093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주제어 대학촌(주변지역) ; 토지이용특성 ; 입지유형 ; 계획방향//University Village ; Land Use Characteristics ; Location Type ; Planning Guidance
요약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주변지역의 토지이용과 입지유형 분석을 통하여 대학촌의 기능을 강화하고 미래지향적인 토지이용에 기초한 대학촌 계획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그리고 진주시내 3개 대학의 주변지역의 현재 토지이용을 고찰하여 토지이용패턴 특성과 잠재적인 문제점을 도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토지이용, 입지, 개발요인에 의해 대학주변지역을 크게 3개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경상대학교(혼합적 토지이용, 교외형, 신개발지), 진주산업대학교(상업형, 도심확장형, 도시내부형), 진주교육대학교(주거형, 정체형, 도시내부형)
둘째, 대부분 대학주변지역은 주거와 상업용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육관련시설과 문화시설은 매우 부족한 편이다.
셋째, 연구대상대학은 캠퍼스의 입지, 규모(학생수), 주변지역의 기능 등에 의해 매우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경상대학교(종합적이고 높은 교육시설), 진주산업대학교(혼합형이고 전문시설), 진주교육대학교(초등학교와 중간의 교육시설, 대부분 주거)
결론적으로 대학의 특성에 따라 경상대학교 주변지역은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토지이용이 요구되고, 진주산업대 주변지역은 혼합된 토지이용의 재배치, 진주교육대학교 주변지역은 주로 교육적 토지이용이 요구된다. 새로운 대학촌 계획시 학생주거의 건설과 교육, 문화, 물리적 환경을 개선하는데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요약2 This paper aims to enhance overall functions of campus village and to suggest an improvement plan based on future-oriented land use by analyzing locational land use types in each university neighborhoo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land use pattern and the potential problems, we examined the present land uses of the neighborhoods in three university campuses in Jinju city. For this study, we presented spatial pattern spatial patterns on the maps applied by ArcView GIS as a graphic technique after implementing field surveys and questionnaire o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irst, land use in university neighborhood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land use, location, and development factors. Around th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GSNU), the main land use type is a mix-used one as in suburban and new development area: commercial, residential, and institutional buildings such as school and private academies are recently agglomerated. Around Jinju National University(JNU), the commercial land use is typical as an extended development area of inner city(close to city center) and commercial building occupies the university town around the campus as well as traffic junction nearby: the campus is encompassed mainly by commercial buildings, small restaurants/shops, and a express bus terminal. However, around J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JNUE) the typical land use is residential one as an inner city type: most building are occupied by old single detached houses, new one-room flats for college students or small apartments with tidy shops because of a tendency to development staggering, though those are expected to redevelopment.
Second, in university campus neighborhood, most of land uses consist of residential and commercial ones, but educational and cultural uses(facilities) are very rare. This trend illustrate that the campus village have not settled as educational and cultural center, but have been occupied by mix-used land uses existing as a part of the city.
Third, the land uses in university neighborhood predominantly differ in following three factors: the location of campus, the scale of campus or the number of students, and the function/type of universities. In particular, those depend on the university types: the first university type for comprehensive and higher education profession(GSNU), the second type for mixed and professional profession(JNU), and the third type for elementary and medium educational profession only(JNUE). Around JUNE, most(71%) are included in residential area whereas around GSNU(58%) and JNU(45%) some are included in residential area.
In conclusion, more comprehensive/systematic land use and development are required around the GSNU, while re-arrangement of mixed land uses are required around JNU, and vitalizations of the neighborhood around JNUE currently occupied for mainly educational land use. For the future planning guidelines of campus neighborhood, the suggestions are also required in the process of student housing construction and new campus village development reviewing educational, cultural, and physical environment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인근대학교와 주변지역을 연결한 대학촌 개발 연구
이아롱 ; 황희연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제3회 (200905)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문화산업 집적지로서 도심속 대학촌의 역할과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이형진 ; 김경배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1 n.1(통권 제38호) (201003)
대학시설의 주변지역 전개에 의한 대학마을 재정비
이창호 ; 이영환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0 n.2(통권 제35호) (200906)
[논문] 대학주도의 대학마을 재정비방법에 관한 연구
이창호 ; 배웅규 - 국토계획 : v.42 n.6(통권 159호) (200711)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친환경 건축물의 개념 및 계획 방법
윤종호 - 건축환경설비(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지) : v.1 n.2 (200710)
[논문] 도심형 대학의 캠퍼스 주변 지역사회와 연계된 통합형 프로그래밍에 관한 연구
김홍일 ; 이욱주 - 교육시설(한국교육시설학회지) : v.13 n.3 (200607)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