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조선시대 다포건축의 출목과 도리배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rrangement of purlin and the Chulmok of Dapo style architecture in the Chosun period
저자명 양재영(Yang Jae-Young) ; 주남철(Joo Nam-Chull)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19 n.10 (2003-10)
페이지 시작페이지(129) 총페이지(8)
ISSN 12269093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출목 ; 도리 ; 공포 ; 구조 ; 목조건축출목 ; 도리 ; 공포,?구조 ; 목조건축
요약1 조선시대 다포건축의 공포구조에서 출목의 구성과 도리의 배치에 관련된 치수분석과 구조해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조선시대 다포구조는 외2-3출목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외3출목 다포구조는 조선시대 궁궐의 정전건물과 사찰의 대웅전 등 규모와 격식이 요구되는 건축물에 적용된 주요한 공포형식이며, 이보다 다소 위계가 떨어지는 건물에는 외2출목의 공포형식을 적용한 경향이 있다. 그리고 외4출목구조는 장식적 성향이 강한 특성을 갖는다. 둘째, 출목수가 증가할수록 출목간격은 점차 감소되는 반비례 양상이 고찰된다. 그러나 출목간격의 감소량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출목간격의 총합인 주심으로부터 외목도리까지의 간격은 증가되는 비례관계가 보인다. 따라서 출목수는 비례관계로써 처마길이에 영향을 미치며, 다포구조의 출목구성이 수평확장의 구조성능 외에 의장성 등의 복합적인 기능과도 관계됨을 알 수 있다. 셋째, 조선시대 다포구조에서는 외목도리와 중도리를 중심으로 주요한 하중을 처리하며, 주심도리와 내목도리는 부차적인 역학성능을 보유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조선시대 중기 이후 주심도리 또는 내목도리가 생략되는 구조가 나타나게 되며, 내출목 구성이 역학적 성능보다는 실내 의장성능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요약2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arrangement of purlin and the Chulmok(出目) of Bracket system in Dapo(多包) style architecture in the Chosun(朝鮮) period,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First, Dapo(多包) structure with 3-Oichulmok(外出目) is a major style of Bracket system which was has been applied to traditional wooden architecture of the large scale and high rank in the Chosun (朝鮮) period. Second, as the number of Chulmok(出目) is increase, an interval of Chulmok(出目) is decrease. But an interval of the column and Oimokdori(外目道里) is increase. Therefore we can know that the Chulmok(出目) of Dapo(多包) structure has close relation with dynamic capability and design capability. Third, a Oimokdori(外目道里) and Jungdori(中道里) mostly transfer the load of frame in Dapo(多 包) structure, therefore either of a Jusimdori(柱心道里) or Naemokdori(內目道里) may be omitted. Fourth, as the structural capacity and function of Naechulmok(內出目) become diminish relatively, Naechulmok(內出目) play a important role as the principal ingredient for the interior design.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조선후기 선자연 치목기법에 관한 연구
김왕직(Kim Wang-Ji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5 (201005)
朝鮮時代 重層木造建築의 轉角部 架構法의 형식과 구조적 특성
이은수(Lee Eun-Soo) ; 홍병화(Hong Byung-Hwa) ; 김성우(Kim Sung-W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12 (200912)
숭례문과 흥인지문의 구조체계 비교 연구
이왕기(Lee Wang-Kee) ; 김상조(Kim Sang-J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팔작지붕 추녀에 관한 목구조적 고찰
김병진 ; 김성우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710)
고려말 조선초 다포건축 공포의 결구 특성에 관한 연구
이연노 ; 주남철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19 n.8 (200308)
전통 목구조 팔작지붕 추녀부재의 구조적 보강 특성에 관한 연구
조철희(Cho Cheol-Hee) ; 신용석(Shin Yong-Seok) ; 조윤희(Cho Youn-Hee) ; 노성열(No Seong-Ryeol) ; 김정섭(Kim Jeong-Sup)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26 n.03 (201003)
多包건축의 귀포 形式 變遷에 관한 硏究
류성룡(Ryoo Seong-Ly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6 (200606)
한국 목조건축 架構의 水平比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9 (20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