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독락당 일곽의 조영과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atial Configuration and Construction on Dokrakdang
저자명 김석수(Kim Suk-Su) ; 최효승(Choi Hyo-Seung)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19 n.11 (2003-11)
페이지 시작페이지(199) 총페이지(8)
ISSN 12269093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독락당 ; 공간구조 ; 이언적독락당 ; 공간구조 ; 이언적
요약1 이 연구는 회재 이언적에 의해 건립된 것으로 알려진 조선시대의 주택인 독락당의 조영과정과 공간구조를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독락당에 내재된 공간구조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성과정은 오랜 기간을 통해 단계별로 조성되었으며, 독락당 영역이 구심적 공간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둘째, 건립배경은 각각의 영역에 완결성 및 전일성을 갖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셋째, 마당은 출입구에 따른 동선의 조절에 의해 공간의 내재성이 강화되었으며 채와 담의 구성비에 의해 각각의 독자성을 유지하고 있었다. 넷째, 안채의 원형은 여강 이씨가문의 건축에서 찾을 수 있었으며, 독락당의 분석을 통해 회재의 다양한 공간구성 기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요약2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urses of building of??and space characteristic of Dokrakdang, one of the houses in the ChoSeon Dynasty. Specially, to analyze the space configuration of the Dokrakdang??which was built by Hoejae , Lee UnJuk. The space configuration of Dokrakdang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s: First, The courses of building it were made up of by several stages through long time. And the domain of Dokrakdang played the key role of the building. Second, The background of the building was important factor that gave completion and holistic to each part of it. Third,??Madang has the identity which was created by the ratio between the building and the fence. Fourth, The prototype of AnChae could be found in YouGang Lee's architecture and Hoejae's various space architecture-the way to use the space of the building-could be made clear by analyzing Dokrakdang.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독락당(獨樂堂) 일곽(一郭)의 계획개념과 설계원리
장선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24 n.6 (2013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독락당과 향단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비교 고찰
이창업 ; 임충신 -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 : v.18 n.2 (199810)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독락당(獨樂堂) 일곽(一郭)과 향단(香壇)의 해체예술론(解體藝術論)적 고찰
권태일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5 n.4(통권 48호) (200610)
조선시대주거 [독락당] 일곽에 관한 연구(1)
김관석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28 n.121 (198411)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을 통해서 본 한국전통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이찬 ; 김태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5 n.6(통권 59호) (2006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