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향단의 건축적 특성 /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Hyangdan(香壇) through the Tectonic of?KAN?
저자명 장선주(Jang Sun-Joo) ; 이강훈(Rhee Kang-Hoo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19 n.12 (2003-12)
페이지 시작페이지(219) 총페이지(8)
ISSN 12269093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향단 ; 칸 ; 구축향단 ; 칸 ; 구축
요약1 본 연구는 양동마을에 있는 향단의 구성단위인 칸에 관한 것으로 칸을 집 전체를 구성하는 하나의 틀로 보고 부분과 전체의 관계 속에서 질서를 조절해 가는 칸의 구축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단순히 개념적 차원에서의 관련성을 논하는 입장보다는 대지조건, 모듈, 기능적 요소, 구조적·미적 요소들의 상관관계에 근거하고 있다.
이를 통해 향단에 있어서 칸이 구축요소간의 관계망에 의한 자율적 표현질서에 기인하고 있는 구축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금까지 칸 모듈의 융통성이 단지 쓰임새 및 재료의 문제라는 일반적인 접근에서 벗어나 집 전체를 구성해 가는 과정에서 조절되는 융통성으로 그 범위를 확대할 수 있었다. 또한 부분으로서의 칸을 상대적 척도로서, 공간·형태기준으로서, 미적 요소로서 그 범위를 확대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Hyangdan(香壇) through the tectonic of‘KAN’??Here, the ‘Kan’is assumed as a conceptual framework to organize a house and also a maneuvering tool to control the spatial order with relationship between the whole and the part. Not limited to the simple conceptual aspects, but the interrelated elements such as the site conditions, modules, functions, structure and aesthetic factors. Through the process of the study, the role of‘Kan’is proved to be a tectonic tool for self-regulating architectural order by relation matrix of elements.‘Kan’is not only a fixed measuring tool for functions and material of a house but also a flexible device to control the building composition.‘Kan’is certainly a relative subject for measurement of form, space and aesthetic quality.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양동마을 향단에 있어서 칸의 구축성
장선주 ; 한조동 ; 이강훈 - 한국농촌건축학회 논문집 : v.4 n.2 (200206)
경계구조로 본 향단에 관한 연구
방문정 ; 이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8 n.6(통권 77호) (200912)
양동마을 서백당과 관가정의 간 특성
장선주 ; 이강훈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14 n.6 (2003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조선시대 상류주택 임청각과 향단의 공간구성
최창근 ; 장선주 ; 이강훈 -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 : v.20 n.2 (200010)
양동마을 반가주택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한승 ; 장석하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 n.2007 v.01 (200712)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