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데크 플레이트 구조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Deck Plate
저자명 조승호(Cho Seung-Ho) ; 정란(Chung La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v.19 n.12 (2003-12)
페이지 시작페이지(7) 총페이지(8)
ISSN 12269107
주제분류 구조
주제어 합성부재 ; 데크 플레이트 ; 구조성능 ; 휨내력 ; 접합성능//composite member ; deck plate ; structural performance ; bending capacity ; joint performance
요약1 데크 플레이트의 제작단계에서부터 시공 및 실용단계에 이르기까지 요구되는 구조성능을 구명하기 위하여 휨성능과 접합부 일체성을 파악하고자 정모멘트 실험체와 부모멘트 실험체로 나누어 데크 플레이트의 두께, 슬래브의 두께, 보강철근의 유?무 그리고 보강철근의 종류에 변수를 주어 실험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정모멘트 실험체와 부모멘트 실험체 모두 실험체의 파괴 형태는 전체적으로 휨파괴 양상을 보였으며, 연성적인 파괴 형태를 보여주었다.
(2) 정모멘트 실험체와 부모멘트 실험체의 데크 플레이트의 두께에 따른 내력은 1.0mm 두께인 실험체가 0.8mm 두께인 실험체 보다 각각 1.3~14.6%, 1.0~3.5% 정도로 조금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합성슬래브의 휨 성능에 있어 데크 플레이트 두께의 차이가 내력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3) 정모멘트 실험체에서 하부 보강철근의 유?무에 따른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항복하중이 하부 보강철근이 배근되어 있는 실험체가 하부 보강철근이 없는 실험체 보다 11.4~26.7% 정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멘트 실험체에서 하부 보강철근의 유?무에 따른 영향은 하부 보강철근이 배근되어 있는 실험체가 하부 보강철근이 없는 실험체 보다 2.0~3.0% 정도 항복하중이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부 보강철근의 유?무가 정모멘트 실험체에 비해 부모멘트 실험체가 내력 증가의 차이가 작은 이유는 부모멘트 실험체에서는 하부 보강철근이 압축측 철근이 되어 압축측에서는 데크 플레이트가 충분한 내력을 확보하고 있어 하부 보강철근의 유?무가 내력의 증가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4) 정모멘트와 부모멘트에 대한 실험체의 내력은 이론적으로 계산된 설계하중보다 대부분 크거나 거의 유사한 값을 보여 주었다.
요약2 Recently,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use composite deck plates in high-rise building and apartment construction due to its cost efficiency and less installation time.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is to clarify structural performance of deck plate and further safety through carefully designed experimental program. In order to clarify bending capacity and joint continuity, specimens were divided for positive and negative moment and testing parameters are thickness of deck plate, slab thickness, and various reinforcements.
The results of experimental test are following;
(1) When the thickness of deck plate is 1.0mm, the strength increased by 1.3~14.6% at positive moment tests, and 1.0~3.5% at negative moment testscomparing the case of 0.8mm deck plate thickness. The thickness of deck plate did not play significant role in terms of strength of the slab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moment tests.
(2) The yield strength of slab in positive moment test, having 200mm slab thickness and D13 reinforcement steel, was increased by 28.4~34.8% comparing 160mm slab thickness and D10 reinforcement steel case. And 22.4~25.1% of yield strength was increased after install bottom reinforcement steel.
(3) In negative moment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increase of yield strength when the bottom reinforcement installed was 2.0~2.3% in 200mm slab thickness and 2.0~3.0% in 160mm slab thickness. In positive moment test, the increase of yield strength was 22.8~26.7% in 200mm slab thickness due to bottom reinforcement, and 11.4~20.5% in 160mm slab thickness. The reason being bottom reinforcement in negative moment contributes less amount of yield strength compare to positive moment location is that the bottom reinforcement resists compression force where the deck plate has enough strength already.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특집] 방수공사의 종류와 시공기술의 이해
안상로 ; 곽규성 ; 최성민 ; 오상근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v.10 n.4(통권 제42호) (201008)
탈부착형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1방향 중공슬래브 휨 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정민구(Min-gu Jung) ; 최창식(Chang-Sik Choi) - 한국콘크리트학회논문집 : Vol.29 No.5 (201710)
저탄소 시대의 친환경건축물 기술/사례
조욱희 - (사)한국그린빌딩협의회 창립 10주년 기념대회 : (201004)
철골조 데크플레이트 공사의 생산성 분석에 관한 연구
정세림 ; 조규만 ; 현창택 -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 v.10 n.1(통권 제39호) (201002)
철선일체형 데크플레이트 시스템의 구조안전성 평가
이수권(Lee Soo-Kueon) ; 이용재(Lee Yong-Ja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23 n.11 (200711)
무용접 압접 데크플레이트의 구조성능에 관한 실험
오상훈 ; 김영주 ; 윤명호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v.20 n.6 (200812)
철선 일체형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구조성능
이기조 ; 김웅연 ; 정진우 ; 김이관 ; 양일승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34 n.2 (201410)
[기술정보] 흙막이가시설의 종류 및 최신공법 소개
윤성필 - 건설기술ㅣ쌍용 : 2010. 가을호(v.56) (201009)
[특집] 공업화박판강구조(PEB구조)와 최근 경주 지붕붕괴 참사
이철호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58 n.10 (201410)
구조용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한 연속 합성슬래브 부모멘트 영역의 균열거동
양근혁(Yang Keun-Hyeok) ; 고영우(Ko Young-Woo) ; 정헌수(Chung Heon-S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21 n.1 (20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