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군산 구(舊)조계지의 필지변화와 주거건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lot transition and dwelling architecture of the old international settlement in Gunsan
저자명 윤도선(Yoon Do-Sun) ; 홍승재(Hong Seung-Jae)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0 n.1 (2004-01)
페이지 시작페이지(87) 총페이지(8)
ISSN 12269093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주제어 구(舊) 조계지 ; 필지변화 ; 주거건축 ; 가로체계 ; 도시구조 ; 일본인 거류지//Old International Settlement ; Plot Transition ; Dwelling Architecture ; Street pattern ; Urban Tissue ; Japanese dwellings
요약1 본 연구는 군산 구(舊)조계지를 대상으로 필지변화와 일본인 거류지 주거건축의 특성 및 변화를 분석하였다. 역사적 주거의 모습 속에서 단절되었던 근대역사의 한 일면을 알아보고, 역사적으로 변화해 온 주거환경의 고찰을 통해서 오늘날 우리주거를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는 기초적 자료로서 의의를 지닐 수 있을 것이다. 개항기 도시주거와 관련된 선행연구 검토와 함께 일제강점기 도시도, 군산시사 등의 문헌자료를 통해서 도시구조를 분석하였고, 지적도와 건축물 관리대장 및 항공도를 근거로한 실측조사와 더불어 도시구조 및 주거의 도면화 작업을 병행하였다. 시기적 범위로는 개항 이전 군산의 도시구조와 1899년 군산 개항 이후 1945년 까지의 일제강점 기간의 도시구조를 파악하고 가로체계가 지속유지 또는 변화해 가고 있는 2002년 현재 까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1913년에 폐지된 조계지 지역의 중심이 되었던 영화동을 중심으로 개항 초기 군산의 조계설정지역을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였다. 이 지역은 군산에서 최초로 설정된 격자형의 가로망 구조로 계획된 주거지였으며, 지금까지도 군산 일본인 거류지의 특성을 간직하고 있는 대표적인 주거지라 할 수 있다. 군산 구(舊)조계지는 현재 군산의 도시구조 발전의 중심이 되었고, 초기에 설정된 가로체계는 주거의 형태나 배치에 영향을 주었으며, 다시 주거는 현재의 필지조직에 상관관계를 가지고 변화되어왔다. 장옥(長屋)내의 나누어진 건물선에 따라 필지선이 정해지므로 해서 세분화 되었던 필지가 다시 기존 가옥을 없애고 신축을 하는 과정에서 소규모의 필지가 합병되는 형태로 변화되어가고 있으며, 노지(골목길)가 사라지면서 필지는 가로에 면하여 일방향성만을 가지는 것으로 변하고 있다. 이 곳의 주거는 집합주택의 형식인 장옥(長屋)이나 마찌야(町屋) 등이 가로면을 따라 그 유형적인 선례로 하여 발전하였으며, 가구 내부 쪽으로 주거 발전해 갔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주거공간은 주양식상의 차이, 주생활의 변화, 설비방식의 근대화 등과 같은 요인들로 증축 및 용도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요약2 The characteristic and change of dwelling architecture of Japanese and plot transition were analyzed with the old international settlement in Gunsan. By learning about one side of modern history that was broken off in the historical form of dwelling and observing the dwelling environment that have been changing historically, it can be significant as the basic material of observing our dwelling today. Along with prior investigations and studies related to the late 19th century (opening of port period) urban dwellings, the urban tissue was analyzed through documents about the history of Gunsan city and other cities that were occupied by Japan. In addition, along with survey investigation based on the cadastral map, construction management register and aerial map, I also worked on drawing up dwellings and urban tissue. As for the time range, the urban tissue of Gunsan, before opening of port, and after opening of port from 1899 to 1945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was studied. And, the urban tissue was studied up to the current 2002, where the plot transition is changing or continuously maintained. As for the district subjected for study, the established international settlement district of Gunsan during the early stage of opening of port, was established as spacial range, focusing on Yeonghwa-dong which was the center of international settlement district, which was abolished in 1913. This was the first district in Gunsan to be planned with grid streets structure, and this could be said to be the main dwelling that keeps the characteristic of Japanese dwellings. The old international settlement of Gunsan has become the center of urban tissue development of the current Gunsan, and the initially established street pattern influenced the form and plot of dwellings. The dwellings have been changing with correlation to the current plot. As the plot line is fixed according to the line divided within a long building(長屋), the form is changed through a small scale of subdivided plots combining, in the process of new construction by removing the existing structures again. The plot is changing of possessing one-way improvement only by facing the street, as the bare grounds (alleyway) disappeared. The dwellings in this district, long buildings or machiyas(町屋), have developed with precedent pattern according to the street, and the dwellings have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inner household. In addition, as for the dwelling space, there was change in the use and extension, due to the factors such as difference in style, change in life style and modernization of accommodation system.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군산지역 근대건축물의 현황 및 변천에 관한 기초연구
송석기(Song Seog-Ki)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10 (200410)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개항도시 목포와 군산의 구도심 공간 형성과정 비교
송석기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 v.10 n.02 (통권34호) (200806)
[논문]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도시재생계획 사례연구
최강림 ; 이승환 - 국토계획 : v.44 n.2(통권 169호) (200904)
근대건축물 활용을 통한 지역활성화 방안 연구
권영상 ; 심경미 - 연구보고서(기본) : 2009 n.5 (2009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군산 근대 시가지 경관의 형태적 특성과 보존방향에 관한 연구
이경찬 ; 황경택 ; 홍환성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200511)
[논문] 일제강점기 근대도시의 도시공간구조와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김득수 ; 한동수 ; 김영재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8 n.3(통권 제28호) (200709)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